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전원일기, 602회 | 19930112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602회 내용>
다시 돌아온 노마모를 위해 마을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마음을 쓰고, 노마모에게 살갑지 않은 노마를 데려다 일용모는 어머니에게 잘 해야 한다며 타이른다. 마을 아낙들과 어울리고 싶던 노마모는 수남모의 말실수로 상처를 받는다. 한편, 읍내에 꿔준 돈을 받아야 겠다는 노마모는 읍내에 나가 한밤 중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는다. 다시 집을 나갈것이 우려되는 마을 사람들은 귀동의 눈치를 보며 걱정하지만 노마모는 돈 대신 붕어빵 기계를 끌고 돌아온다. 집안 살림에 보탬이 되고싶은 노마모는 다음날 붕어빵 장사를 시작 하고, 귀동은 일 나가는 노마모가 불안해 반대를 하지만 일용모의 이야기를 듣고는 마음을 바꾼다. 힘들게 장사하는 노마모의 모습에 안쓰러운 귀동은 마침내 이해하고 도와준다. 00:00- 타이틀 - 출연: 아버지(최불암), 어머니(김혜자), 할머니(정애란) 일용모(김수미), 용진(김용건), 영남모(고두심), 용식(유인촌) 수남모(박순천), 일용(박은수), 복길모(김해정), 귀동(이계인) 응삼(박윤배), 명석(신명철), 박노인(홍민우), 강노인(정대홍) 이노인(정태섭), 창수(이창환), 창수처(이상미), 종기모(이수나) 숙이모(김명희), 섭이모(김정), 기흥처(김혜옥), 쌍봉댁(이숙) 노마모(이미지), 아역-영남(김기웅), 복길(노영숙), 수남(김경수) 01:32- 전CM 03:56- 돌아온 노마모를 챙기려는 마을 사람들 08:34- 노마모에게 무뚝뚝한 노마 - 노마에게 어머니에게 잘 하라고 당부하는 일용모 17:05- 무심한 귀동 탓하는 쌍봉댁, 아낙들과 어울리는 노마모 - 수남모의 말실수에 상처받은 노마모 24:48- 꿔준 돈 받으러 읍내 나가는 노마모 28:23- 늦게까지 귀가 안하는 노마모 걱정하는 마을사람들 - 한밤 중 붕어빵 기계 가져온 노마모, 화내는 귀동 38:31- 붕어빵 장사해 돈 벌어온 노마모 - 노마모가 돈 버는것이 불만인 귀동 45:28- 고생하는 노마모 이해하고 돕는 귀동 48:11- 후CM |
|||
전원일기, 601회(우리 젊은날) | 19930105 | 4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52- 대학시험에 떨어진 동준이가 집을 나와
- 고모댁에 오자 모두 걱정한다. 종규는 대학에 - 붙어,온 동네사람들의 칭찬을 받고 종기엄마는 - 합격떡을 돌리며 기뻐한다.식구 모두 동준이를 - 위로하지만 영남엄마는 조카 동준 일로 웬지 - 창피하고 속상하기만 하다. 겉으로 아무렇지도 - 않은 척하던 동준이가 한밤중에 울음을 터뜨리자 - 영남엄마는 동준을 위로한다. |
|||
전원일기, 601회 | 19930105 | 46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601회 내용>
종규가 대학에 붙자 종기모는 신이나 마을 사람들에게 자랑을 하며 떡을 돌리고, 이에반해 영남모의 조카 동준은 대학시험에서 떨어지고 양촌리로 쉬러온다. 자랑하는 종기모에게 동준이 창피한 영남모는 아무렇지 않게 느긋 한 동준에게 다그치고, 자신의 괴로운 마음을 숨기고 있던 동준은 한밤중에 울음을 터트린다. 이를 본 어머니와 용진은 동진을 위로해 주고 다음날 동준은 준규와 함께 서울로 떠난다. 00:00- 타이틀 - 출연: 아버지(최불암), 어머니(김혜자), 할머니(정애란) 일용모(김수미), 용진(김용건), 영남모(고두심), 용식(유인촌) 수남모(박순천), 일용(박은수), 복길모(김해정), 귀동(이계인) 응삼(박윤배), 명석(신명철), 박노인(홍민우), 강노인(정대홍) 이노인(정태섭), 창수(이창환), 창수처(이상미), 종기모(이수나) 숙이모(김명희), 섭이모(김정), 기흥처(김혜옥), 쌍봉댁(이숙) 노마모(이미지), 아역-영남(김기웅), 복길(노영숙), 수남(김경수) 01:30- 전CM 03:49- 대학에 붙은 종규, 떨어진 동준 09:59- 김회장댁에 온 동준 - 내색않고 김회장 부부에게 인사하는 동준 19:16- 대학합격한 준규 축하 덕 돌리는 종기모 - 준규와 함께 김회장댁 인사온 종기모, 창피한 영남모 29:12- 동준 때문에 창피하고 속상한 영남모 - 느긋한 동준 다그치는 영남모, 괴로워하는 동준 36:24- 한밤중에 울음 터트린 동준, 위로하는 용진 41:25- 가족들 배웅아래 종규와 서울로 가는 동진 43:55- 후CM |
|||
전원일기, 600회(재회) | 19921229 | 59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4:19- 노마를 두고 집을 나갔던 노마엄마가 고향으로
- 돌아와 노마에게 옷을 사주며 노마 앞에 - 나타나자 노마아빠는 절대로 용서할 수 없다며 - 화를 낸다. 그러나 결국 노마엄마를 - 용서하고 이웃들의 축복속에서 새로 - 혼례를 올린다 |
|||
전원일기, 600회 | 19921229 | 67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600회 내용>
노마를 남겨둔 채 집을 나갔던 노마모는 다시 양촌리로 찾아오지만 쉽게 자신의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먼 발치에서 노마만을 바라보다 아무도 몰래 옷을 전해주고 다시 몸을 숨긴다. 노마의 옷을 보고 흥 분한 귀동은 옷을 갈기갈기 찢어 장대에 매달아 놓고 절대 용서하지 못한다고 이야기한다. 노마모 생각에 괴로워하는 귀동이 안쓰러운 쌍봉댁은 숙이모의 도 움을받아 다리를 놔달라고 이야기하지만 귀동은 노마모에 대한 미 련으로 섣불리 대답하지 못한다. 한편, 일용의 집으로 찾아온 노마모는 일용모의 보호아래 귀동을 만나지만 귀동은 자신의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아픈 노마모에게 소리를 친다. 하지만 김회장과 할머니, 일용모의 충고를 듣고 용서 를 한 후 혼례를 올린다. 00:00:00- 타이틀 - 출연: 아버지(최불암), 어머니(김혜자), 할머니(정애란) 일용모(김수미), 용진(김용건), 영남모(고두심), 용식(유인촌) 수남모(박순천), 일용(박은수), 복길모(김해정), 귀동(이계인) 응삼(박윤배), 명석(신명철), 박노인(홍민우), 강노인(정대홍) 이노인(정태섭), 창수(이창환), 창수처(이상미), 종기모(이수나) 숙이모(김명희), 섭이모(김정), 기흥처(김혜옥), 쌍봉댁(이숙) 노마모(이미지), 아역-영남(김기웅), 복길(노영숙), 수남(김경수) 00:01:30- 전CM 00:04:18- 양촌리에 몰래 돌아와 노마에게 옷만 전해준 노마모 00:09:08- 노마모가 준 옷을 잘라버리며 화내는 귀동 - 장대에 옷 걸어놓고 마을 사람들에게 혼나는 귀동 00:18:07- 괴로워하는 귀동과 다리 놔달라는 쌍봉댁 - 귀동에게 쌍봉댁과 맺어주려는 숙이모 00:26:56- 노마모 생각에 착잡한 귀동 00:32:25- 쌍봉댁에 대해 듣는 귀동 00:37:16- 일용의 집으로 찾아온 노마모, 다그치는 일용모 - 돌아온 노마모에 대한 이야기하는 마을 사람들 00:47:03- 노마모 보고는 용서못해서 울분 토하는 귀동 - 돌아온 노마모 소식에 씁쓸한 쌍봉댁 - 노마모를 만나는 노마, 엄마 이야기 들려주는 귀동 01:00:06- 혼례올리는 귀동, 노마모 01:03:52- 후CM |
|||
전원일기, 599회(서울로 가는 길) | 19921222 | 45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53- 복길네는 서울로 이사를 가기 위해 집도
- 보러가고,그동안 빌려준 돈도 전부 받아서 - 준비를 해가나 결국은 사람들과의 인정과 - 농사에 대한 애착 때문에 그대로 정착해서 - 살게 된다 |
|||
전원일기, 599회 | 19921222 | 5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599회 내용>
요즘 아이들은 학교에 가기 전부터 미리 공부를 하기에 미리 공부하지 않으면 뒤따라가기가 힘들다. 일용처(김혜정)는 복길(노영숙)의 교육때문에 서울로 이사갈 고민을 하고, 모은 돈을 전부 모아 겨우 집 한칸 마련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일용(박은수)과 상의한다. 일용은 고민끝에 서울에 집을 보러 가고, 일용엄마(김수미)는 서울에 집을 사두는 것인 줄로만 알고는 좋아한다. 일용과 일용처는 집을 마련해 서울로 이사갈 준비를 하고, 그 소식을 듣게 된 마을 사람들은 모두 서운해한다. 특히 용식(유인촌)은 가장 섭섭해하고, 서울에 간다고 해서 큰 돈을 벌 수 있는 것도 아니어서 용식은 일용에게 서울에 가지 말라고 붙잡는다. 일용엄마는 할머니(정애란)와 김회장부인 (김혜자)을 두고 서울에 가는 것이 못내 마음에 걸려, 일용에게 서울에 가려면 자신과 복길이는 두고 가라고 한다. 결국 일용과 일용처는 마을 사람들과의 인정과 농사에 대한 애착 때문에 그대로 정착해서 살게 된다. 00:00- 타이틀 01:32- 전CM 03:52- 영남 공부 가르치는 영남엄마 07:29- 서울로 이사갈까 고민하는 일용네 - 서울로 가버릴까 생각하는 응삼 - 고민하는 일용 17:35- 서울에 집 보러 가는 일용과 일용처 - 서울에 집보러 다녀오려는 일용과 일용처 - 일용엄마의 허락만 있으면 서울로 이사가겠다고 하는 일용 27:28- 일용네 서울로 이사간다는 소식에 섭섭해하는 마을사람들 - 일용 떠나는 소식에 가장 섭섭해하는 용식 - 막상 떠날 생각하니 마음이 무거운 일용엄마 38:04- 서울로 가지 말라고 일용을 붙잡는 용식 41:59- 마을에 남아 살기로 한 일용네 - 갈거면 자신과 복길이는 두고 가라고 하는 일용엄마 49:07- 후CM |
|||
전원일기, 598회(겨울 문턱) | 19921215 | 4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57- 섭이네는 종기네에게 꿔준 돈을 받지 못해
- 상봉댁에게 창피까지 당했다고 투덜댄다. - 이장인 명석이 내기빚을 지자 응삼이는 - 아다니며 사람들 앞에서 이장 체면이 깎이는 - 창피를 준다. 그것에 화가 난 명석은 - 응삼과 싸우게 된다. 종기네는 섭이네에게 - 사과하며 돈을 갚고 향토 솜씨 경진대회에 - 나갈 것을 권유한다. 양촌리에서 예선대회가 - 열리고 대상을 탄 섭이네가 양촌리 대표로 - 경진대회에 나가게 된다 |
|||
전원일기, 598회 | 19921215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598회 내용>
섭이네(김정)는 외상값 갚으라는 쌍봉댁(이숙)에게 종기네(이수나)에게 빌려준 돈을 받으면 바로 갚겠다고 말한다. 섭이네는 외상값 갚지 않았다고 눈치주는 쌍봉댁때문에 빨리 돈을 받아내려고 한다. 그런데 종기네가 잔뜩 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여기저기 쓸 일이 많다는 이유로 섭이네에게 돈 갚는 일을 미루자 섭이네는 다시는 종기네에게 돈을 빌려주지 않겠다고 마음먹는다. 숙이네(이명희)는 섭이네 대신 종기네를 찾아가 이 사실을 알려주고, 종기네는 급히 돈을 마련해 섭이네에게 돈을 갚는다. 종기네는 섭이네에게 사과하며 향토 솜씨 경진대회에 나갈 것을 권유한다. 한편, 응삼(박윤배)은 명석(신명철), 친구들과 함께 내기 화투판을 친다. 응삼은 명석을 볼때마다 노름빚을 갚으라며 장난을 치지만 명석은 이장 체면이 깎이게 왜 그런 말을 하느냐며 화를 낸다. 그 일로 두 사람은 크게 다툰다. 한편, 양촌리에서 향토솜씨경진대회의 예선이 열린다는 말에 마을사람들은 모두 준비를 한다. 그리고 예선대회가 열리고, 대상을 탄 섭이네가 야온리 대표로 경진대회에 나가게 된다. 00:00- 타이틀 01:32- 전CM 03:51- 종기네에게 빌린 돈을 받지 못해 화난 섭이네 - 종기네가 돈을 갚으면 쌍봉댁 외상값 주려는 섭이네 - 다시는 종기네에게 돈 빌려주지 않겠다고 하는 섭이네 13:03- 일용과 화투치고 심심해하는 일용엄마 19:38- 내기 화투 친 마을청년회 - 일용엄마와 일용이 화투치는 것 못마땅한 일용처와 복길 - 서로 돈을 잃었다며 눈치보는 친구들 28:05- 노름빚 갚으라고 장난치는 응삼에게 화난 명석 - 사람들 앞에서 이장 체면이 깎였다며 화내는 명석 34:01- 화해하는 종기네와 섭이네, 응삼과 명석 - 돈 갚으며 향토솜씨 경진대회 나갈 것 권유하는 종기네 - 화해하는 명석과 응삼 40:53- 양촌리에서 열린 향토 요리솜씨 예선대회 - 대상 탄 섭이네가 양촌리 대표로 경진대회 나가게 됨 47:34- 후CM |
|||
전원일기, 597회(친정 오빠) | 19921208 | 4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55- 수남아버지는 추곡수매에 제 값을 못받자
- 술을 마시고 늦게 들어와 아내와 싸우게 - 되고 마침 내려온 처형에게 동생을 - 고생시킨다고 면박당한다. 화가 난 - 수남아버지는 집을 나오나 처형이 사업에 - 실패해 피신해 온것을 알고 처형을 위로한다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