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전원일기, 612회 | 19930323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612회 내용>
읍내에 소를 팔러 나갔다가 떨어진 소값에 침울해진 창수는 매사에 까칠해지고, 몇 년 만에 창수를 찾아온 만수에게도 냉담하게 대한다. 그날 밤, 창수의 소는 만수의 트럭에 실려 도둑을 맞게 되고, 창수는 사라진 만수를 의심한다. 한편, 자신의 범행이라고 의심하는 창수의 말을 들은 만수는 트럭을 잃은 슬픔보다 형을 잃었다는 아픔에 상처를 받게 되고, 자신의 마음 을 창수처에게 털어놓게된다. 뒤늦게 진범을 잡은 창수는 만수가 남 긴 반지를 보고 뒤따라가지만 이미 만수는 서울로 떠난 뒤다. 00:00- 타이틀 - 출연: 김회장(최불암), 어머니(김혜자), 할머니(정애란) 일용모(김수미), 용진(김용건), 영남모(고두심), 용식(유인촌) 수남모(박순천), 일용(박은수), 복길모(김해정), 귀동(이계인) 응삼(박윤배), 명석(신명철), 박노인(홍민우), 강노인(정대홍) 이노인(정태섭), 창수(이창환), 창수처(이상미), 종기모(이수나) 숙이모(김명희), 섭이모(김정), 보배모(김혜옥), 쌍봉댁(이숙) 노마모(이미지), 아역-영남(김기웅), 복길(노영숙), 수남(김경수) 01:30- 전CM 03:47- 소 팔러 갔다가 낮은 가격에 상심한 창수 - 고기 반찬에 반색하는 일용모 11:33- 창수에게서 소를 사는 김노인 16:42- 몇년만에 찾아온 동생 만수, 냉담한 창수 - 청년회관에서 자는 만수 25:45- 만수의 트럭으로 소 훔치는 도둑 - 창수네 소식에 걱정하는 마을사람들 34:42- 만수 의심하는 창수, 청년들 - 형의 의심에 창수처에게 마음 털어놓는 만수 44:07- 만수, 창수형제의 우애 걱정한는 김회장 46:15- 반지를 남기고 떠난 만수 47:53- 후CM |
|||
전원일기, 611회(메주) | 19930316 | 4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4:03- 보배엄마가 복길이를 메주에 비유해 놀리자
- 복길엄마는 화를 낸다. 수남엄마가 나서서 - 둘을 화해시키려 하지만 쉽게 풀리지 않는다. - 보배엄마는 쑨 메주가 그냥 썩자 동네 사람들 - 몰래 버리려 하다가 일용엄마에게 들키고 만다. - 보배엄마는 복길엄마에게 화해하고 메주를 얻는다. - 일용엄마는 부녀회에 부탁해 다시는 수입콩으로 - 메주를 쑤는 일이 없도록 당부한다. |
|||
전원일기, 611회 | 19930316 | 49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611회 내용>
복길이는 친구들에게 메주라고 놀림을 받고, 장화를 빌리러 온 복길모도 보배보가 복길을 메주라고 놀리자 화가나 다툰다. 복 길모는 메주라고 부르는 일용모에게 다신 그렇게 부르지 말라고 당부하지만 일용모는 정감이 간다며 좋아한다. 한편, 장을 담그려던 보배모는 메주를 보던 중에 모두 썩은 사 실을 알게 되고, 몰래 내다 버리다가 일용모에게 들키고 만다. 메주가 필요한 보배모는 복길모에게 메주를 빌리며 화해를 하게 되고, 일용모는 수입콩 사용을 자제하자는 당부를 내린다. 00:00- 타이틀 - 출연: 김회장(최불암), 어머니(김혜자), 할머니(정애란) 일용모(김수미), 용진(김용건), 영남모(고두심), 용식(유인촌) 수남모(박순천), 일용(박은수), 복길모(김해정), 귀동(이계인) 응삼(박윤배), 명석(신명철), 박노인(홍민우), 강노인(정대홍) 이노인(정태섭), 창수(이창환), 창수처(이상미), 종기모(이수나) 숙이모(김명희), 섭이모(김정), 기흥처(김혜옥), 쌍봉댁(이숙) 노마모(이미지), 아역-영남(김기웅), 복길(노영숙), 수남(김경수) 01:33- 전CM 03:50- 메주라고 놀림받는 복길 09:02- 복길을 메주라고 놀리는 보배모와 다투는 복길모 - 놀림받는 모습에 속상한 복길모, 복길 - 쌍봉댁의 물벼락 맞는 박노인 18:26- 일용모와 장 담그는 복길모 21:56- 복길모, 보배모 화해자리 마련하지만 잘 안되는 수남모 - 행인 도움으로 메주사는 노마모 29:45- 썩은 메주 몰래 버리다 일용모에게 들킨 보배모 36:05- 복길모에게 메주 빌리며 화해하는 보배모 43:39- 양촌리에서 잘 살고싶은 노마모, 수입콩 사용금지 당부하는 일용모 47:19- 후CM |
|||
전원일기, 610회(회심곡) | 19930309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4:02- 며느리 대신 장터에 간 어머니는 30년만에
- 친구를 만난다. 힘들고 외로운 삶을 살아왔다는 - 친구의 얘기를 듣고 어머니는 자신의 삶에 대해 - 생각하며 식욕을 잃고 기력을 잃는다. 이웃과 - 식구들이 어머니 걱정을 하며 이것저것 신경을 - 쓴다. 회장은 어머니가 꾀병이라며 먹을 것을 - 챙겨준다. |
|||
전원일기, 610회 | 19930309 | 4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610회 내용>
영남모 대신 장에 가던 어머니는 상여를 보게되고 마음이 좋지않아 진다. 또 장에서 옛 친구를 만나 어렵게 살아가는 이야기를 듣자 자신이 살아온 세월에 대한 회한이 들며 죽음이라는 두려움이 앞서 게 된다. 기력을 잃고, 입맛도 잃고 있던 어머니는 꿈에 저승의 문턱에서 친구의 도움으로 살아오고나서 부터는 더욱 기력이 쇠진해진다. 걱정하는 가족들과 달리 김회장과 할머니는 꾀병이라고 생각한다. 어머니는 딸에게 전화를 걸어 수의를 준비해 놓으라고 하지만 딸 과 김회장은 아직 창창하다며 거절한다. 00:00- 타이틀 - 출연: 김회장(최불암), 어머니(김혜자), 할머니(정애란) 일용모(김수미), 용진(김용건), 영남모(고두심), 용식(유인촌) 수남모(박순천), 일용(박은수), 복길모(김해정), 귀동(이계인) 응삼(박윤배), 명석(신명철), 박노인(홍민우), 강노인(정대홍) 이노인(정태섭), 창수(이창환), 창수처(이상미), 종기모(이수나) 숙이모(김명희), 섭이모(김정), 기흥처(김혜옥), 쌍봉댁(이숙) 노마모(이미지), 아역-영남(김기웅), 복길(노영숙), 수남(김경수) 01:32- 전CM 03:50- 영남모 대신 읍내 장보러가는 어머니 - 지나가는 상여를 보게 된 어머니 08:59- 장에 갔다가 친구 만나는 어머니 - 외로운 삶을 살아온 친구 이야기 듣는 어머니 18:37- 삶에 대해 생각하며 식욕, 기력잃은 어머니 - 꿈 속 친구의 도움으로 저승에서 돌아온 어머니 - 불효자에 대해 이야기하는 동네 아낙들 25:46- 모든것에 기력없이 귀찮기만 한 어머니 33:16- 아픈 어머니가 걱정되는 일용모, 꾀병이라 생각하는 할머니 - 읍내에 나갔다 되려 다투는 김회장부부 38:01- 상여 본 것 생각하다가 딸에게 수의 부탁하는 어머니 43:27- 죽음 걱정하는 어머니에게 걱정말라는 김회장 46:11- 후CM |
|||
전원일기, 609회(시골 유학) | 19930302 | 44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58- 영남엄마는 영남이를 도시로 보내 공부시키고
- 싶어 하지만 허락하지 않는 남편이 야속해 - 속상해한다. 미국에 갔던 정순이네가 돌아와 - 아들 훈이를 시골에서 공부시키겠다며 떼놓고 - 간다. 일용이가 정순이와 다정해하자 복길네는 - 속이 상한다. |
|||
전원일기, 609회 | 19930302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609회 내용>
영남이 서울과 같은 좋은 환경에서 공부시키고 싶은 영남모는 친 정의 도움으로 서울 유학을 보내려고 하지만 어머니의 반대로 힘 들기만 하다. 한편, 미국에 이민을 갔던 정순은 가족들과 함께 다 시 양촌리로 돌아온다. 정순은 훈이를 시골에서 공부시키며 자립심을 키워주고 싶다고 말 하고, 그 때문에 영남의 서울유학 보내는 것이 더욱 힘들게 되자 영남모는 정순이 못마땅해진다. 한편, 일용과 친했던 정순이 돌아오자 복길모는 괜한 질투심에 심 통이 나고, 정순은 훈이를 학교에 보낸 후 다시 서울로 돌아간다. 00:00- 타이틀 - 출연: 김회장(최불암), 어머니(김혜자), 할머니(정애란) 일용모(김수미), 용진(김용건), 영남모(고두심), 용식(유인촌) 수남모(박순천), 일용(박은수), 복길모(김해정), 귀동(이계인) 응삼(박윤배), 명석(신명철), 박노인(홍민우), 강노인(정대홍) 이노인(정태섭), 창수(이창환), 창수처(이상미), 종기모(이수나) 숙이모(김명희), 섭이모(김정), 기흥처(김혜옥), 쌍봉댁(이숙) 노마모(이미지), 아역-영남(김기웅), 복길(노영숙), 수남(김경수) 01:33- 전CM 03:51- 영남의 공부에 관심이 많은 영남모 - 새로운 농사 일 찾는 청년들 12:03- 헌가방이 싫은 수남모, 서울유학 보내고싶은 영남모 17:47- 양촌리에 돌아온 정순이네, 반가운 일용모 - 김회장댁에 인사 온 정순이네 26:06- 정순과 만나 옛 이야기 하는 일용 - 복길, 노마와 어울리는 훈이 - 정순 이야기에 마음상한 복길모 35:39- 옥자가 가져온 미제 음식, 용품 관심보이는 김회장, 일용모 39:16- 시골 유학하는 훈이, 비교되어 못마땅한 영남모 - 입학하는 영남, 훈이 남기고 떠나는 정순 47:56- 후CM |
|||
전원일기, 608회(길) | 19930223 | 3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4:03- 큰 길이 막히자 양촌리를 통해 지름길로
- 다니는 외지 차들이 부쩍 늘어 복길네는 그것을 - 이용해 농산물을 팔 직판장을 만들자고 부녀회에 - 건의한다. 그러나 복길이가 자동차에 치어 - 손가락을 다치자 복길할머니는 길 한복판을 - 가로막고 서서 차들을 돌아가게 한다. - 한편, 옆집 덕보 영감네가 새로 집을 짓는데 - 피해가 온다는 소릴 듣고 일용엄마와 일용은 - 덕보 영감을 만나 얘기한다. |
|||
전원일기, 608회 | 19930223 | 44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608회 내용>
큰 길인 산업도로가 막히자 외부 차들이 지름길인 양촌리를 경유 해서 지나다니고, 복길모는 이를 틈타 외부인들을 상대로 직판장 을 열자고 건의한다. 농사 외 소득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은 일용모 는 그 제안에 동의하고 사람들을 설득하러 다닌다. 하지만 복길이 외부차량에 의해 교통사고가 나자 놀란 일용모는 복기를 데리고 병원으로 향하고, 직판장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 다. 마을로 외부차량이 다니는것을 반대하는 일용모는 차를 통제 시키려 하지만 잘 되지않고, 직접 길 위에 드러눕는다. 한편, 새로 집을 지으려는 덕보는 자신의 땅이라며 일용의 대문 을 막아서려하고, 그것이 불만인 일용은 덕보에게 문 앞의 땅을 사겠다고 하자 덕보는 심기가 불편해진다. 00:00- 타이틀 - 출연: 김회장(최불암), 어머니(김혜자), 할머니(정애란) 일용모(김수미), 용진(김용건), 영남모(고두심), 용식(유인촌) 수남모(박순천), 일용(박은수), 복길모(김해정), 귀동(이계인) 응삼(박윤배), 명석(신명철), 박노인(홍민우), 강노인(정대홍) 이노인(정태섭), 창수(이창환), 창수처(이상미), 종기모(이수나) 숙이모(김명희), 섭이모(김정), 기흥처(김혜옥), 쌍봉댁(이숙) 노마모(이미지), 아역-영남(김기웅), 복길(노영숙), 수남(김경수) 01:32- 전CM 03:54- 큰 길이 막히자 양촌리로 돌아가는 외부 차들 - 쌍봉댁에게 장사 맡기는 복길모, 외부인 상대로 장사하고픈 종기모 - 수남 챙기자 효모소리 듣는 수남모 12:36- 외부인 상대 직판장 이야기 꺼내는 일용모 16:21- 교통사고 당하는 복길 - 병원에 입원한 복길, 마음아픈 일용부부 24:09- 외부 차 통행에 대해 걱정인 김회장가족 24:51- 집으로 돌아온 복길, 안심하는 김회장댁 - 거리장사 막는 일용모, 길 막고싶은 사람들 31:57- 외부차량 통제하려 드러눕는 일용모 - 청소하는 아이들에게 돈주는 덕보 38:17- 새집 짓기위해 대문 막으려는 덕보, 땅 사겠다는 일용 40:44- 일용의 설득하에 집으로 돌아가는 일용모 42:17- 후CM |
|||
전원일기, 607회(우등상) | 19930216 | 4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4:08- 영남이의 졸업식과 사촌형의 칠순이 겹쳐
- 졸업식에 김회장과 어머니는 참석하지 못하게 - 되고,영남아빠까지 회사일로 오지 못하자 - 영남엄마는 매우 섭섭해한다. 영남이가 - 졸업식에서 우등상은 받지 못했지만 글을 - 잘쓴다고 받은 상이 영남엄마는 자랑스럽기만 - 하다.수남엄마는 졸업식에 가지 않았다가 - 미안한 마음이 들자 음식준비를 해온다. - 늦게 귀가한 남편이 섭섭했지만 준비해 온 - 케익과 카드를 보며 영남엄마는 깊은 생각에 - 잠긴다.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