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MBC 스페셜 | 20111111 | 5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0- 전CM 02:07- 프롤로그 (영원한 11번 최동원 투수를 기리는 뜻으로 11월 11일, 그의 강속구 같았던 삶을 재조명하고, 그가 우리에게 던진 삶의 의미를 되돌아보고자 한다) 03:33- 2011년 9월 14일, 최동원의 죽음 - 2011년 10월 23일 플레이오프 5차전, 롯데 vs SK . 최동원 선수를 바라는 롯데팬 - 2011년 9월 14일 부산, 고 최동원 선수 분향소 05:08- 불멸의 투수 최동원을 기억하는 사람들 - 1970년대 경남고 투수 최동원을 기억하는 사람들 . 심상정(전 국회의원), 이지현(53세. 고교시절팬) - 동료 야구선수들이 기억하는 고 최동원 . 마해영(전 롯데타자), 김우열(전 OB타자) - 특이한 투구폼과 타자를 압도하는 강속구 - 어머니가 기억하는 아들 최동원 . 부산시 용호동 12:03- 투수 최동원을 말한다 - 연습벌레로 통한 최동원 . 하루에 공을 400개 투구 소화 - 고등학교 재학, 당시 고교최강의 투수 . 군산상고 상대로 삼진 20개 기록 . 김시진(넥센 히어로즈 감독), 김성한(전 프로야구선수) - 고동학생 최동원의 그라운드 밖 표정 - 대학진학부터 치열했던 스카우트 전쟁 . 연세대 진학 - 친구이자 평생의 라이벌 김시진(현 넥센 히어로즈 감독) 24:23- 깨지지 않는 1984년 한국시리즈의 전설 - 1984년 한국시리즈, 4승을 기록하며 우승 견인차 . 탁월한 연투능력과 승부욕 - 1984년 한국시리즈, 롯데 우승 31:39- 메이저리그 진출을 꿈꾼 최동원 - 30년 전, 최동원의 메이저리그를 추진했던 웨인 모건 . 웨인 모건(토론토 블루제이스 스카우터) - 국제야구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낸 최동원 34:31- 대한민국 최고의 투수, 최동원 vs 선동열 - 선동열(기아 감독)이 말하는 선배 최동원 - 프로야구 선수 시절, 선동열과 최동원의 라이벌 대결 . 강병철(전 롯데감독), 박동희(스포츠 전문기자) 38:33- 아버지 최윤식과 아들 최동원 - 2010년 유소년 야구팀을 지도한 최동원 . 송정규(전 롯데 자이언츠 단장) - 현역 시절 별명이 '파파보이'라 불릴 정도로 엄격한 아버지 . 이재환(전 연세대 감독) 41:31- 1988년 한국프로야구 선수협의회 초대 회장 - 선수협의회 파장으로 삼성으로 트레이드 된 최동원 - 선수협의회 창단을 주도한 최동원 - 낯선 유니폼으로 마운드에 서게 된 최동원 47:47- 마운드 밖 인간 최동원 - 삼성으로 트데이드 된 2년 후 은퇴 - 은퇴 후 광역의회 선거 출마와 낙선 . 김정길(전 민주당 국회의원) - 낙선 이후 방송인과 야구해설가, 지도자로 활동 - 감독으로 영원한 야구인으로 꿈꿨던 최동원 . 박동희(스포츠 전문기자) - 영원한 롯데의 등번호 11번 고 최동원 56:08- 다음회 예고 56:46- 텔롭 57:24- 후CM |
|||
MBC 스페셜 | 20111104 | 56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8- 전CM 01:05- 프롤로그 (윤동주의 그 무엇이 일본인들의 가슴에 다가간 걸까? 시를 애송하고 연구하는 일본인들의 마음속에 새겨진 그의 모습을 통해 이 가을 윤동주를 다시 생각해 본다) 03:50- 가을에 생각나는 시인, 윤동주 - 기시 카나코와 시인 윤동주의 만남 . 교환학생으로 한국으로 와 한국의 매력에 빠진 카나코 - 윤동주의 시 <소년>(1939년) 06:10- 일본 유학길에 오른 식민지 청년, 윤동주 - 1942년 일본 유학을 앞두고, 시 <참회록>(1942년) . 조국에서 쓴 마지막 시 <참회록> - 1941년 일본 유학을 위한 창씨개명과 창작활동 . 김응교(숙명여대 교수) . 1941년 11월에 창작한 시 <별 헤는 밤>, <서시>, <간) - 일본 유학의 출발점, 도쿄의 릿쿄대학교 - 평범한 주부 야나기하라 야스코의 윤동주 연구 - 식민지 청년의 일본 유학, 전쟁의 한가운데의 선 윤동주 . 일본 도쿄, 우에노공원 14:09- 식민지 시인 윤동주, 외로움과 고독의 시 - 시대도 언어의 벽도 넘어선 시인 윤동주 - 외로움과 고통을 담아낸 시 <쉽게 씨워진 시>(1942년) - 일본인들에게 새롭게 조명되는 시인 윤동주 . 오오무라 마스오(윤동주 연구가. 교수) 24:19- 70년이 지나 새롭게 조명되는 윤동주 - 교토 도시샤대학교의 유학시절 - 윤동주 시비 건립을 위한 노력 31:00- 조국의 독립을 노래한 시인, 윤동주 - 조국의 독립을 꿈꿔왔던 시인 윤동주 . 교토 시모가모 경찰서 . 송우혜(소설가) - 평화의 상징으로 새롭게 인식되는 시인 윤동주 . 안자이 이쿠로(시인 윤동주 기념비 건립위원회위원장) 38:55- 윤동주의 죽음과 부활 - 27세의 나이로 후쿠오카에서 사망한 윤동주 - 윤동주의 시를 사랑하고 연구하는 일본인들 . 마나기 미키코(윤동주 시를 읽는 모임 대표) . 구마키쓰토무(후쿠오카대학 교수) - 윤동주의 흔적을 찾고 현재 윤동주를 재조명 . 도쿄 고서점거리 - 이 시대 다시 부활하는 윤동주 . 윤인석(성균관대 교수. 윤동주 시인의 조카) 53:32- <남극의 눈물> 예고 54:17- 다음주 예고 55:03- 텔롭 55:36- 후CM |
|||
MBC 스페셜 | 20111104 | 56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8- 전CM 01:05- 프롤로그 (윤동주의 그 무엇이 일본인들의 가슴에 다가간 걸까? 시를 애송하고 연구하는 일본인들의 마음속에 새겨진 그의 모습을 통해 이 가을 윤동주를 다시 생각해 본다) 03:50- 가을에 생각나는 시인, 윤동주 - 기시 카나코와 시인 윤동주의 만남 . 교환학생으로 한국으로 와 한국의 매력에 빠진 카나코 - 윤동주의 시 <소년>(1939년) 06:10- 일본 유학길에 오른 식민지 청년, 윤동주 - 1942년 일본 유학을 앞두고, 시 <참회록>(1942년) . 조국에서 쓴 마지막 시 <참회록> - 1941년 일본 유학을 위한 창씨개명과 창작활동 . 김응교(숙명여대 교수) . 1941년 11월에 창작한 시 <별 헤는 밤>, <서시>, <간) - 일본 유학의 출발점, 도쿄의 릿쿄대학교 - 평범한 주부 야나기하라 야스코의 윤동주 연구 - 식민지 청년의 일본 유학, 전쟁의 한가운데의 선 윤동주 . 일본 도쿄, 우에노공원 14:09- 식민지 시인 윤동주, 외로움과 고독의 시 - 시대도 언어의 벽도 넘어선 시인 윤동주 - 외로움과 고통을 담아낸 시 <쉽게 씨워진 시>(1942년) - 일본인들에게 새롭게 조명되는 시인 윤동주 . 오오무라 마스오(윤동주 연구가. 교수) 24:19- 70년이 지나 새롭게 조명되는 윤동주 - 교토 도시샤대학교의 유학시절 - 윤동주 시비 건립을 위한 노력 31:00- 조국의 독립을 노래한 시인, 윤동주 - 조국의 독립을 꿈꿔왔던 시인 윤동주 . 교토 시모가모 경찰서 . 송우혜(소설가) - 평화의 상징으로 새롭게 인식되는 시인 윤동주 . 안자이 이쿠로(시인 윤동주 기념비 건립위원회위원장) 38:55- 윤동주의 죽음과 부활 - 27세의 나이로 후쿠오카에서 사망한 윤동주 - 윤동주의 시를 사랑하고 연구하는 일본인들 . 마나기 미키코(윤동주 시를 읽는 모임 대표) . 구마키쓰토무(후쿠오카대학 교수) - 윤동주의 흔적을 찾고 현재 윤동주를 재조명 . 도쿄 고서점거리 - 이 시대 다시 부활하는 윤동주 . 윤인석(성균관대 교수. 윤동주 시인의 조카) 53:32- <남극의 눈물> 예고 54:17- 다음주 예고 55:03- 텔롭 55:36- 후CM |
|||
MBC 스페셜 | 20111028 | 57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9- 전CM 00:51- 프롤로그 (절절한 언어로 당대의 사람들을 위로해주었던 트로트. 그 뿌리를 이해하고 오늘날 새롭게 트로트를 이끌어나가는 주역들을 만난다. 음악, 그 이상의 문화 양식이 된 우리시대의 트로트를 재조명해보자) 02:48- 우리 대중가요 역사속에 면면히 이어온 트로트의 매력 - 거부감 없이 트로트를 즐기는 젊은이들 . 노래방 마니아 정기모임 - 신세대 트로트 가수들의 등장 07:40- 잔잔하고 은근한 대중들의 물 밑 사랑, 가수 심수봉 - 싱어송라이터 심수봉의 등장, 감성을 자극하는 목소리 - 대중 곁에 항상 존재했던 그녀의 노래 . 공연을 마친 심수봉과 팬들의 만남 13:55- 트로트의 양대산맥, 남진과 나훈아 - 수없이 리메이크 되는 남진과 나훈의 노래들 . 남진(가수) 인터뷰 - 지금도 사랑 받는 남진과 나훈아 .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남진 45주년 기념콘서트 . 강헌(대중음악 평론가) - 1970년대 초반부터 라이벌 관계 . 박성서(대중음악 평론가), 이호섭(작곡가) 25:13- 트로트의 뿌리를 심다 - 트로트하면 생각나는 가수, 이미자 . 트로트의 전성시대를 연 이미자 - 1930년대 일제시대 트로트풍의 노래 도입 . 손민정(대전대학교 교수), 반야월(작사가. 94세) . 이난영(<목포의 눈물>, 1959년 공연자료) - 광복 이후, 리듬의 일종에서 장르명으로 의미 전향 . 트로트: 말이 걷는 속도에서 시작된 리듬 - 한국인의 애환을 담은 작곡가 박시춘 . 경남 밀양, 박시춘 생가 - 서민의 애환을 담은 트로트와 비슷한 일본의 엔카 . 일본 도쿄, 고가마사오박물관 . 작곡가 고가마사오 한국에서 청소년기 보냄 40:57- 한국의 흥을 담은 신나는 트로트 - 서민들의 삶에 서민들 주변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트로트 . 장유정(단국대학교 교수) - 개인보다는 여럿이 들을 때 더 강해지는 트로트 48:09- 나는 트로트가 좋다 - 나훈아 노래에 빠져 산 인생, 박상신 씨 . 박상신(나훈아 팬클럽 훈사모 운영자) - 트로트에 관심이 많은 대만 총영사 로티엔 홍 .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부산 사무처 . 로티엔 홍(타이베이 대표부 부산 사무처 총영사) - 트로트를 통해 한국을 알게 된 재일교포 박찬호(69세) - 트로트의 새로운 도전, 한국대중음악의 여왕들의 변신 . 주현미와 국가스텐 56:46- 다음회 예고 57:26- 텔롭 |
|||
MBC 스페셜 | 20111028 | 5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9- 전CM 00:51- 프롤로그 (절절한 언어로 당대의 사람들을 위로해주었던 트로트. 그 뿌리를 이해하고 오늘날 새롭게 트로트를 이끌어나가는 주역들을 만난다. 음악, 그 이상의 문화 양식이 된 우리시대의 트로트를 재조명해보자) 02:48- 우리 대중가요 역사속에 면면히 이어온 트로트의 매력 - 거부감 없이 트로트를 즐기는 젊은이들 . 노래방 마니아 정기모임 - 신세대 트로트 가수들의 등장 07:40- 잔잔하고 은근한 대중들의 물 밑 사랑, 가수 심수봉 - 싱어송라이터 심수봉의 등장, 감성을 자극하는 목소리 - 대중 곁에 항상 존재했던 그녀의 노래 . 공연을 마친 심수봉과 팬들의 만남 13:55- 트로트의 양대산맥, 남진과 나훈아 - 수없이 리메이크 되는 남진과 나훈의 노래들 . 남진(가수) 인터뷰 - 지금도 사랑 받는 남진과 나훈아 .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남진 45주년 기념콘서트 . 강헌(대중음악 평론가) - 1970년대 초반부터 라이벌 관계 . 박성서(대중음악 평론가), 이호섭(작곡가) 25:13- 트로트의 뿌리를 심다 - 트로트하면 생각나는 가수, 이미자 . 트로트의 전성시대를 연 이미자 - 1930년대 일제시대 트로트풍의 노래 도입 . 손민정(대전대학교 교수), 반야월(작사가. 94세) . 이난영(<목포의 눈물>, 1959년 공연자료) - 광복 이후, 리듬의 일종에서 장르명으로 의미 전향 . 트로트: 말이 걷는 속도에서 시작된 리듬 - 한국인의 애환을 담은 작곡가 박시춘 . 경남 밀양, 박시춘 생가 - 서민의 애환을 담은 트로트와 비슷한 일본의 엔카 . 일본 도쿄, 고가마사오박물관 . 작곡가 고가마사오 한국에서 청소년기 보냄 40:57- 한국의 흥을 담은 신나는 트로트 - 서민들의 삶에 서민들 주변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트로트 . 장유정(단국대학교 교수) - 개인보다는 여럿이 들을 때 더 강해지는 트로트 48:09- 나는 트로트가 좋다 - 나훈아 노래에 빠져 산 인생, 박상신 씨 . 박상신(나훈아 팬클럽 훈사모 운영자) - 트로트에 관심이 많은 대만 총영사 로티엔 홍 .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부산 사무처 . 로티엔 홍(타이베이 대표부 부산 사무처 총영사) - 트로트를 통해 한국을 알게 된 재일교포 박찬호(69세) - 트로트의 새로운 도전, 한국대중음악의 여왕들의 변신 . 주현미와 국가스텐 56:46- 다음회 예고 57:26- 텔롭 |
|||
MBC 스페셜 | 20111021 | 5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0- 전CM 01:07- 프롤로그 (최근 방송 활동을 접고 사진작가로 인생 이모작을 시작한 이상벽. 그가 성공적인 인생 후반전을 살고있는 사람들을 소개하기 위해 직접 카메라를 들고 나섰다) 02:58- 100세 까지 무대에 선다, 방송인 송해(85세) - 송해빅쇼 <나팔꽃 인생> 리허설 - 송해의 단독 콘서트 <나팔꽃 인생> 공연 . 장충체육관 06:00- 공무원에서 피부미용사로 전업하다, 주상숙(63세) - 30년간 공무원 은퇴 후 피부미용사로의 새로운 인생 . 경북도청 30년간 근무 - 자신이 터득한 건강법을 보급하고자 건강교실 개설 . 백세건강스마트봉 16:09- 귀농으로 새 인생을 산다, 귀농인 윤태주(63세) - 은행 보안 전문가에서 8년 전 귀농 - 어엿한 한명의 농군으로 거듭 태어난 태주씨 - 지역 주민들을 위한 컴퓨터와 인터넷 강의 . 태안군 노인복지관 25:02- 투자전문가에서 라디오 제작자로 변신한, 백만기(60세) - 셋째딸을 시집 보내며 느끼는 소회 - 라디오 제작자로 DJ로 1인4역을 맡아 라디오 진행 . FM분당 - 시각장애인을 위한 Tape-Book 제작 31:04- 세상을 향해 멋을 부리다, 연예기획사에 소속된 황혼들 - 손화자(66세), 곽용근(73세) - 어르신들을 위한 연예기획사 오디션 . 서울무역전시장 - 광고, 영화, 패션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어르신들 . 곽용근(73세. 31년간 시멘트 회사 근무) 37:51- 남은 인생을 보람된 인생으로, 행복설계아카데미 - 나종민(49세. LET'S사무국장) - 봉사하는 삶을 사는, 나종민(49세. LET'S사무국장) . 서울 도봉산 숲속마을 -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사회적기업, 박병창(60세. 한국일보 명예퇴직) . 유시주(행복설계아카데미 소장) 44:50- 중앙부처 공무원에서 환경운동가로, 박종학(73세) - 멸종위기 새들의 보존을 위한 노력 . 서울 종로, 환경운동연합 - 남은 인생, 사회에 환원하자 49:26- 당신이 생각하는 인생 이모작은? - 김정암(102세) 어르신의 사교춤 배우기 . 김포 노인종합복지관 - 100세 시대 사는 당신,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라 51:41- 다음회 예고 52:30- 텔롭 |
|||
MBC 스페셜 | 20111021 | 5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0- 전CM 01:07- 프롤로그 (최근 방송 활동을 접고 사진작가로 인생 이모작을 시작한 이상벽. 그가 성공적인 인생 후반전을 살고있는 사람들을 소개하기 위해 직접 카메라를 들고 나섰다) 02:58- 100세 까지 무대에 선다, 방송인 송해(85세) - 송해빅쇼 <나팔꽃 인생> 리허설 - 송해의 단독 콘서트 <나팔꽃 인생> 공연 . 장충체육관 06:00- 공무원에서 피부미용사로 전업하다, 주상숙(63세) - 30년간 공무원 은퇴 후 피부미용사로의 새로운 인생 . 경북도청 30년간 근무 - 자신이 터득한 건강법을 보급하고자 건강교실 개설 . 백세건강스마트봉 16:09- 귀농으로 새 인생을 산다, 귀농인 윤태주(63세) - 은행 보안 전문가에서 8년 전 귀농 - 어엿한 한명의 농군으로 거듭 태어난 태주씨 - 지역 주민들을 위한 컴퓨터와 인터넷 강의 . 태안군 노인복지관 25:02- 투자전문가에서 라디오 제작자로 변신한, 백만기(60세) - 셋째딸을 시집 보내며 느끼는 소회 - 라디오 제작자로 DJ로 1인4역을 맡아 라디오 진행 . FM분당 - 시각장애인을 위한 Tape-Book 제작 31:04- 세상을 향해 멋을 부리다, 연예기획사에 소속된 황혼들 - 손화자(66세), 곽용근(73세) - 어르신들을 위한 연예기획사 오디션 . 서울무역전시장 - 광고, 영화, 패션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어르신들 . 곽용근(73세. 31년간 시멘트 회사 근무) 37:51- 남은 인생을 보람된 인생으로, 행복설계아카데미 - 나종민(49세. LET'S사무국장) - 봉사하는 삶을 사는, 나종민(49세. LET'S사무국장) . 서울 도봉산 숲속마을 -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사회적기업, 박병창(60세. 한국일보 명예퇴직) . 유시주(행복설계아카데미 소장) 44:50- 중앙부처 공무원에서 환경운동가로, 박종학(73세) - 멸종위기 새들의 보존을 위한 노력 . 서울 종로, 환경운동연합 - 남은 인생, 사회에 환원하자 49:26- 당신이 생각하는 인생 이모작은? - 김정암(102세) 어르신의 사교춤 배우기 . 김포 노인종합복지관 - 100세 시대 사는 당신,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라 51:41- 다음회 예고 52:30- 텔롭 |
|||
MBC 스페셜,캥거루 케어, 2부 | 20111014 | 57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5- 전CM 01:16- 프롤로그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 사용하는 신생아 케어 방식으로 아기의 맨살과 엄마의 맨살을 최대한 많이 최대한 오래 밀착시켜 아기의 정서 안정과 발달을 돕는 케어 방법) 03:15- 캥거루 케어로 새 생명을 얻은 서윤이와 윤찬이 -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만났던 서윤이와 윤찬이의 해후 . 하서윤(교정주수 2개월), 이윤찬(3개월) - 캥거루 케어로 건강을 찾은 두 아이들 . 이윤찬(30주. 1.02kg 출생), 하서윤(25주. 700g 출생) 05:19- 캥거루 케어를 시작하는 엄마들 - 신생아집중치료실, 캥거루 케어 지원자 교육 - 엄마와 아기가 맨살을 통해 아기의 발달을 돕는 캥거루 케어 . 수잔 러딩턴(케이스웨스턴대학 간호학 교수) . 유럽과 미국에서 활발히 진행 - 켕커루 케어를 시작하는 아기와 엄마들 . 오세연(신생아집중치료실 발달간호사) - 미숙아를 켕거루 케어를 통해 건강 향상 . 켕거루 케어를 통해 아기 온도 상승 11:14- 켕거루 케어의 기적을 바라는 모정 - 미숙아로 태어난 쌍둥이, 뇌출혈 증상 . 신승한(소아청소년과 교수) - 아픈 쌍둥이를 위해 캥커루 케어를 시작하려는 엄마 21:24- 생애 첫 켕커루 케어를 실시하는 엄마들 - 미국 오하이오, 분만 직후 캥커루 케어 실시 . 미국 오하이오 리버사이드대학 여성병원 . 수잔 러딩턴(케이스웨스터대학 간호학 교수) - 국내 최초로 분만실 켕거루 케어 실시 . 2011년 8월 10일 산부인과 병동 . 노지현(산부인과 교수) 26:38- 감염 위험이 높은 미숙아에 대한 켕거루 케어 - 생후 2가 된 쌍둥이 연하.동하, 뇌출혈 발생과 괴사성 장염 우려 . 김한석(소아청소년과 교수) - 신생아집중치료실, 미숙아에 대한 감염 우려로 캥커루 케어 중단 . 면회 제한 강화 - 미국, 감염 우려는 있지만 캥거루 케어 중단하지는 않는다 . 위생관리 철저, 손씻기 철저 - 아픈 쌍둥이 연하.동하에 대한 켕거루 케어 실시 36:50- 아빠가 하는 켕거루 케어 - 스웨덴 웁살라대학 아동병원, 켕거루 케어를 하는 아빠들 - 스웨덴, 32주 이하 미숙아 생존률 세계 최고 수준 47:04- 병원성 세균(슈퍼박테리아)를 이겨낸 켕거루 케어 - 슈퍼박테리아 노출 위험, 손씻기와 병실청소 강화 . 부모 보다는 의료진의 손씻기 소홀 - 감염 위험에도 불구하고 켕거루 케어 계속 실시 - 켕거루 케어로 쌍둥이 연하.동하 건강 호전 53:09- 캥거루 케어로 건강을 되찾은 아이들 - 120일이 지난 켕거루 케어, 긍정적인 효과 입증 -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집으로 퇴원하는 쌍둥이 연하.동하 . 동하의 뇌출혈 호전 56:23- 다음회 예고 57:07- 텔롭 |
|||
MBC 스페셜 [복구] | 20111014 | 56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7- 프롤로그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 사용하는 신생아 케어 방식으로 아기의 맨살과 엄마의 맨살을 최대한 많이 최대한 오래 밀착시켜 아기의 정서 안정과 발달을 돕는 케어 방법) 02:14- 캥거루 케어로 새 생명을 얻은 서윤이와 윤찬이 -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만났던 서윤이와 윤찬이의 해후 . 하서윤(교정주수 2개월), 이윤찬(3개월) - 캥거루 케어로 건강을 찾은 두 아이들 . 이윤찬(30주, 1.02kg 출생), 하서윤(25주, 700g 출생) 04:17- 캥거루 케어를 시작하는 엄마들 - 신생아집중치료실, 캥거루 케어 지원자 교육 - 엄마와 아기가 맨살을 통해 아기의 발달을 돕는 캥거루 케어 . 수잔 러딩턴(케이스웨스턴대학 간호학 교수) . 유럽과 미국에서 활발히 진행 - 캥거루 케어를 시작하는 아기와 엄마들 . 오세연(신생아집중치료실 발달간호사) - 미숙아를 캥거루 케어를 통해 건강 향상 . 켕거루 케어를 통해 아기 온도 상승 10:10- 캥거루 케어의 기적을 바라는 모정 - 미숙아로 태어난 쌍둥이, 뇌출혈 증상 . 신승한(소아청소년과 교수) - 아픈 쌍둥이를 위해 캥거루 케어를 시작하려는 엄마 20:22- 생애 첫 캥거루 케어를 실시하는 엄마들 - 미국 오하이오, 분만 직후 캥커루 케어 실시 . 미국 오하이오 리버사이드대학 여성병원 . 수잔 러딩턴(케이스웨스터대학 간호학 교수) - 국내 최초로 분만실 켕거루 케어 실시 . 2011년 8월 10일 산부인과 병동 . 노지현(산부인과 교수) 25:36- 감염 위험이 높은 미숙아에 대한 캥거루 케어 - 생후 2가 된 쌍둥이 연하.동하, 뇌출혈 발생과 괴사성 장염 우려 . 김한석(소아청소년과 교수) - 신생아집중치료실, 미숙아에 대한 감염 우려로 캥커루 케어 중단 . 면회 제한 강화 - 미국, 감염 우려는 있지만 캥거루 케어 중단하지는 않는다 . 위생관리 철저, 손씻기 철저 - 아픈 쌍둥이 연하.동하에 대한 캥거루 케어 실시 35:48- 아빠가 하는 캥거루 케어 - 스웨덴 웁살라대학 아동병원, 캥거루 케어를 하는 아빠들 - 스웨덴, 32주 이하 미숙아 생존률 세계 최고 수준 46:02- 병원성 세균(슈퍼박테리아)를 이겨낸 캥거루 케어 - 슈퍼박테리아 노출 위험, 손씻기와 병실청소 강화 . 부모 보다는 의료진의 손씻기 소홀 - 감염 위험에도 불구하고 캥거루 케어 계속 실시 - 캥거루 케어로 쌍둥이 연하.동하 건강 호전 52:07- 캥거루 케어로 건강을 되찾은 아이들 - 120일이 지난 캥거루 케어, 긍정적인 효과 입증 -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집으로 퇴원하는 쌍둥이 연하.동하 . 동하의 뇌출혈 호전 55:21- 다음회 예고 56:06- 텔롭 |
|||
MBC 스페셜 | 20111014 | 57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5- 전CM 01:16- 프롤로그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 사용하는 신생아 케어 방식으로 아기의 맨살과 엄마의 맨살을 최대한 많이 최대한 오래 밀착시켜 아기의 정서 안정과 발달을 돕는 케어 방법) 03:15- 캥거루 케어로 새 생명을 얻은 서윤이와 윤찬이 -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만났던 서윤이와 윤찬이의 해후 . 하서윤(교정주수 2개월), 이윤찬(3개월) - 캥거루 케어로 건강을 찾은 두 아이들 . 이윤찬(30주. 1.02kg 출생), 하서윤(25주. 700g 출생) 05:19- 캥거루 케어를 시작하는 엄마들 - 신생아집중치료실, 캥거루 케어 지원자 교육 - 엄마와 아기가 맨살을 통해 아기의 발달을 돕는 캥거루 케어 . 수잔 러딩턴(케이스웨스턴대학 간호학 교수) . 유럽과 미국에서 활발히 진행 - 켕커루 케어를 시작하는 아기와 엄마들 . 오세연(신생아집중치료실 발달간호사) - 미숙아를 켕거루 케어를 통해 건강 향상 . 켕거루 케어를 통해 아기 온도 상승 11:14- 켕거루 케어의 기적을 바라는 모정 - 미숙아로 태어난 쌍둥이, 뇌출혈 증상 . 신승한(소아청소년과 교수) - 아픈 쌍둥이를 위해 캥커루 케어를 시작하려는 엄마 21:24- 생애 첫 켕커루 케어를 실시하는 엄마들 - 미국 오하이오, 분만 직후 캥커루 케어 실시 . 미국 오하이오 리버사이드대학 여성병원 . 수잔 러딩턴(케이스웨스터대학 간호학 교수) - 국내 최초로 분만실 켕거루 케어 실시 . 2011년 8월 10일 산부인과 병동 . 노지현(산부인과 교수) 26:38- 감염 위험이 높은 미숙아에 대한 켕거루 케어 - 생후 2가 된 쌍둥이 연하.동하, 뇌출혈 발생과 괴사성 장염 우려 . 김한석(소아청소년과 교수) - 신생아집중치료실, 미숙아에 대한 감염 우려로 캥커루 케어 중단 . 면회 제한 강화 - 미국, 감염 우려는 있지만 캥거루 케어 중단하지는 않는다 . 위생관리 철저, 손씻기 철저 - 아픈 쌍둥이 연하.동하에 대한 켕거루 케어 실시 36:50- 아빠가 하는 켕거루 케어 - 스웨덴 웁살라대학 아동병원, 켕거루 케어를 하는 아빠들 - 스웨덴, 32주 이하 미숙아 생존률 세계 최고 수준 47:04- 병원성 세균(슈퍼박테리아)를 이겨낸 켕거루 케어 - 슈퍼박테리아 노출 위험, 손씻기와 병실청소 강화 . 부모 보다는 의료진의 손씻기 소홀 - 감염 위험에도 불구하고 켕거루 케어 계속 실시 - 켕거루 케어로 쌍둥이 연하.동하 건강 호전 53:09- 캥거루 케어로 건강을 되찾은 아이들 - 120일이 지난 켕거루 케어, 긍정적인 효과 입증 -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집으로 퇴원하는 쌍둥이 연하.동하 . 동하의 뇌출혈 호전 56:23- 다음회 예고 57:07- 텔롭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