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MBC 스페셜 | 20130109 | 6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00- 타이틀
00:00:17- 전CM 00:03:05- 태안 기름유출사건(2007년), 끝나지 않은 이야기 - 2007년 12월 7일 태안 기름유출사건 발생 . 1만 2547㎘의 기름 유출 - 2012년 겨울, 다시 찾은 태안군 의항리 . 기름 흔적은 많이 지워졌지만 주민들 생활은 악화 . 권계순(71세. 의향리 주민) - 기름 유출의 흔적은 많이 지워졌지만 주민들의 생활은 악화 . 태안군 의항리 굴양식장 -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는 없는 전대미문의 사태 . 허베이 스피릿호와 삼성중공업 해상 크레인 충돌로 기름유출 . IOPC(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과 허베이 스피릿호, 삼성중공업이 책임을 미루는 상황 00:27:23- 백색 연기의 재앙,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건(2012년) - 2012년 9월 27일 구미산업단지, 불산가스 유출 사건 발생 - 쥐약과 살충제의 주성분인 불산 유출로 생태게 파괴 - 갑자기 닥친 재앙으로 피난민이 된 주민들 . 정부, 사건 발생 3시간이 지나서야 주민들 대피 - 불산에 노출된 농작물과 가축들로 인해 절규하는 농민들 . 정부의 피해보상액과 주민들이 바라는 보상액 차이 보여 00:41:42- 전쟁 같던 1시간, 연평도 포격사건(2010년) - 2010년 11월 23일, 북한의 포격으로 전쟁터로 변한 연평도 -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희생 2주기를 맞이하다 . 2명의 군인 사망,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 . 이순희(고 문광욱 일병 어머니) . 서래일(고 서정우 하사 아버지) - 연평도의 변신, 하지만 전쟁의 공포는 끝나지 않았다 .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 . 서해5도 특별지원법 제정, 주택과 대피소 등 지원 . 조윤길(옹진군수) 00:58:22- 특집 다큐멘터리 <생존> 예고 00:59:04- 텔롭 00:59:25- 후CM |
|||
MBC 스페셜 | 20130109 | 6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00- 타이틀
00:00:17- 전CM 00:03:05- 태안 기름유출사건(2007년), 끝나지 않은 이야기 - 2007년 12월 7일 태안 기름유출사건 발생 . 1만 2547㎘의 기름 유출 - 2012년 겨울, 다시 찾은 태안군 의항리 . 기름 흔적은 많이 지워졌지만 주민들 생활은 악화 . 권계순(71세. 의향리 주민) - 기름 유출의 흔적은 많이 지워졌지만 주민들의 생활은 악화 . 태안군 의항리 굴양식장 -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는 없는 전대미문의 사태 . 허베이 스피릿호와 삼성중공업 해상 크레인 충돌로 기름유출 . IOPC(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과 허베이 스피릿호, 삼성중공업이 책임을 미루는 상황 00:27:23- 백색 연기의 재앙,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건(2012년) - 2012년 9월 27일 구미산업단지, 불산가스 유출 사건 발생 - 쥐약과 살충제의 주성분인 불산 유출로 생태게 파괴 - 갑자기 닥친 재앙으로 피난민이 된 주민들 . 정부, 사건 발생 3시간이 지나서야 주민들 대피 - 불산에 노출된 농작물과 가축들로 인해 절규하는 농민들 . 정부의 피해보상액과 주민들이 바라는 보상액 차이 보여 00:41:42- 전쟁 같던 1시간, 연평도 포격사건(2010년) - 2010년 11월 23일, 북한의 포격으로 전쟁터로 변한 연평도 -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희생 2주기를 맞이하다 . 2명의 군인 사망,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 . 이순희(고 문광욱 일병 어머니) . 서래일(고 서정우 하사 아버지) - 연평도의 변신, 하지만 전쟁의 공포는 끝나지 않았다 .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 . 서해5도 특별지원법 제정, 주택과 대피소 등 지원 . 조윤길(옹진군수) 00:58:22- 특집 다큐멘터리 <생존> 예고 00:59:04- 텔롭 00:59:25- 후CM |
|||
MBC 스페셜 | 20130102 | 6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00- 타이틀
00:00:15- 전CM 00:02:33- 프롤로그 (초토화가 된 폐허속에서도 희망을 일궈내는 사람들을 따라가 보며 삶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고, 여전히 남겨진 과제 등을 짚어보고자 한다) 00:02:59- 2008년 5월 12일, 중국 쓰촨성 대지진 - 2008년 5월 12일. 진도 8의 강진 중국 쓰촨성에서 발생 . 8만 6천여명의 사상자 . 한화140조원 가량의 직접적인 경제 피해 - 2012년 현재 쓰촨성 베이촨 현, 도시 전체가 지진 유적지로 지정 . 도시 복구 불가능 인정, 지진 유적지로 지정 - 신베이촨 현, 살아남은 사람들을 위한 신도시 . 지진 복구작업에 투자한 금액은 한화 약 148조 . 신베이촨 현에서 만난 희망둥이 - 아픔을 극복하고 다시 희방을 쓰는 신베이촨 현 사람들 - 빛 뒤의 그림자, 아이들을 잃은 부모의 피 토하는 절규 . 7천여개의 학교 붕괴와 9천여명 이상의 학생 사망 00:24:54- 2011년 3월 11일, 일본 쓰나미 그 후 - 일본 동북부 지역을 강타한 일본 사상 최악의 쓰나미 참사 . 1만 9천여명의 인명피해와 283조원의 천문학적 재산 피해 -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미복구상태 - 가마이시 시 오쓰치, 쓰나미 이후 희망을 찾아가는 사람들 - 전통료칸 호우라이칸의 희망 이야기 . 이와카시 아키코(료칸 주인) - 스즈키 켄이치(69세. 전직 소방대장)이 쓰는 희망 이야기 . 쓰나미로 가족을 잃은 켄이치 씨 . 호우라이칸의 버스 기사로 활동 - 2012년 12월 7일, 쓰나미 대피경보 . - 호우라이칸의 손님 유치를 위한 쓰나미를 활용 홍보 방식 - 전세계를 혼란으로 빠뜨린 원전 사고, 떠난 자와 남은 자 . 후쿠시마 원전 사고 . 방사능으로 오염된 후쿠시마를 떠나지 않는 사람들 - 어촌마을 오쓰치, 연어잡이를 통한 희망 이야기 . 나카자토 마사요시(연어잡이 어부) 00:56:29- 다음주 예고 00:57:14- 에필로그/ 텔롭 00:58:02- 특집 다큐멘터리 <생존> 예고 00:58:37- 후CM |
|||
MBC 스페셜 | 20130102 | 6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00- 타이틀
00:00:15- 전CM 00:02:33- 프롤로그 (초토화가 된 폐허속에서도 희망을 일궈내는 사람들을 따라가 보며 삶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고, 여전히 남겨진 과제 등을 짚어보고자 한다) 00:02:59- 2008년 5월 12일, 중국 쓰촨성 대지진 - 2008년 5월 12일. 진도 8의 강진 중국 쓰촨성에서 발생 . 8만 6천여명의 사상자 . 한화140조원 가량의 직접적인 경제 피해 - 2012년 현재 쓰촨성 베이촨 현, 도시 전체가 지진 유적지로 지정 . 도시 복구 불가능 인정, 지진 유적지로 지정 - 신베이촨 현, 살아남은 사람들을 위한 신도시 . 지진 복구작업에 투자한 금액은 한화 약 148조 . 신베이촨 현에서 만난 희망둥이 - 아픔을 극복하고 다시 희방을 쓰는 신베이촨 현 사람들 - 빛 뒤의 그림자, 아이들을 잃은 부모의 피 토하는 절규 . 7천여개의 학교 붕괴와 9천여명 이상의 학생 사망 00:24:54- 2011년 3월 11일, 일본 쓰나미 그 후 - 일본 동북부 지역을 강타한 일본 사상 최악의 쓰나미 참사 . 1만 9천여명의 인명피해와 283조원의 천문학적 재산 피해 -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미복구상태 - 가마이시 시 오쓰치, 쓰나미 이후 희망을 찾아가는 사람들 - 전통료칸 호우라이칸의 희망 이야기 . 이와카시 아키코(료칸 주인) - 스즈키 켄이치(69세. 전직 소방대장)이 쓰는 희망 이야기 . 쓰나미로 가족을 잃은 켄이치 씨 . 호우라이칸의 버스 기사로 활동 - 2012년 12월 7일, 쓰나미 대피경보 . - 호우라이칸의 손님 유치를 위한 쓰나미를 활용 홍보 방식 - 전세계를 혼란으로 빠뜨린 원전 사고, 떠난 자와 남은 자 . 후쿠시마 원전 사고 . 방사능으로 오염된 후쿠시마를 떠나지 않는 사람들 - 어촌마을 오쓰치, 연어잡이를 통한 희망 이야기 . 나카자토 마사요시(연어잡이 어부) 00:56:29- 다음주 예고 00:57:14- 에필로그/ 텔롭 00:58:02- 특집 다큐멘터리 <생존> 예고 00:58:37- 후CM |
|||
MBC 스페셜 | 20121212 | 59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6- 전CM 03:49- 프롤로그/ 싸이, 옥스퍼드 강단에 서다 (2012년 강남스타일이 창조해낸 또 다른 세계적, 문화적 스타일들과 이로 인해 우리 사회에 다가온 긍정적 변화와 가능성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05:35- 싸이, 아시아 가수 최초로 옥스퍼드에 서다 - 영국 옥스퍼드, 가수 싸이의 도착과 설렘 . 영국 옥스퍼드대학 캠퍼스 강연장 - 2012년 11월 8일, 옥스퍼드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강연 09:24- 강남스타일, 세계의 기록을 남기다 - 싸이,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시상식에서 공연 . 11월 18일, MC 해머와 합동 공연 - <강남스타일>, 4개월 만에 유트브 조회 수 8억 돌파 . 아메리칸뮤직어워드, 뉴미디어상 수상 - 영국 오피셜 차트 1위와 빌보드 차트 7주 연속 2위 . 아이튠스에서 41개국 동시 1위 기록 - 뉴욕 UN사무국, 반기문(UN사무총장)과의 만남 . 반기문 총장과 함께 말춤 18:10- 강남스타일, 세계 곳곳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 영국 NHS 병원, <강남스타일>을 이용한 손씻기 캠페인 . 영국 노스햄튼 NHS 병원 - 다양한 패러디 영상, 한국어를 따라하는 세계인들 . 미국 대선 후보들의 패러디 영상 - 싸이의 <강남스타일>, 각 나라의 문화에 흡수 . 비저블 매저: 비디오를 분석해 광고와 연계 25:56- 강남스타일, 네트워크 시대를 말하다 - 이스라엘 히브리대학, <강남스타일>의 성공을 분석한 논문 . 강정수(연세대 콘텐츠미디어학과 교수) - 인터넷과 유트브을 통한 노래의 홍보 가능, 새로운 문화 형성 . 데이비드 최(가수) - 인터넷을 통한 글로벌 댄스 배틀, 수익성 사업으로 확장 . 서울 가산 디지털 단지 . 김병훈(IT업체 대표), 최석호(레저경영연구소 소장) - 그룹 비틀즈가 결성돼 세계적 명소가 된 영국 리버플 . 영국 리버플 41:01- 강남스타일, 우리 사회 변화를 만들다 - 한국의 강남을 찾은 외국인 급증, 문화오락서비스 국제수지 흑자 전환 . 한국의 문화를 체험하는 외국인들 - 보수적 광고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싸이 . 싸이 광고촬영 현장 45:43- 싸이, 전 세계를 웃게 하다 - 세계적 관심과 사랑을 한 몸에 받게 된 싸이 . 2012년 10월 18일, 호주 엑스팩터 프로그램 게스트 출연 - 한류와 K-POP의 수준을 높힌 <강남스타일> . 영국 현대예술협회, 한류문화주간 . 유진룡(가톨릭대학 한류대학원 원장) - 싸이의 <강남스타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승의 견인차 53:52- 에필로그 54:33- 다큐멘터리 <생존> 예고 55:20- 텔롭 55:53- 후CM |
|||
MBC 스페셜 | 20121212 | 59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6- 전CM 03:49- 프롤로그/ 싸이, 옥스퍼드 강단에 서다 (2012년 강남스타일이 창조해낸 또 다른 세계적, 문화적 스타일들과 이로 인해 우리 사회에 다가온 긍정적 변화와 가능성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05:35- 싸이, 아시아 가수 최초로 옥스퍼드에 서다 - 영국 옥스퍼드, 가수 싸이의 도착과 설렘 . 영국 옥스퍼드대학 캠퍼스 강연장 - 2012년 11월 8일, 옥스퍼드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강연 09:24- 강남스타일, 세계의 기록을 남기다 - 싸이,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시상식에서 공연 . 11월 18일, MC 해머와 합동 공연 - <강남스타일>, 4개월 만에 유트브 조회 수 8억 돌파 . 아메리칸뮤직어워드, 뉴미디어상 수상 - 영국 오피셜 차트 1위와 빌보드 차트 7주 연속 2위 . 아이튠스에서 41개국 동시 1위 기록 - 뉴욕 UN사무국, 반기문(UN사무총장)과의 만남 . 반기문 총장과 함께 말춤 18:10- 강남스타일, 세계 곳곳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 영국 NHS 병원, <강남스타일>을 이용한 손씻기 캠페인 . 영국 노스햄튼 NHS 병원 - 다양한 패러디 영상, 한국어를 따라하는 세계인들 . 미국 대선 후보들의 패러디 영상 - 싸이의 <강남스타일>, 각 나라의 문화에 흡수 . 비저블 매저: 비디오를 분석해 광고와 연계 25:56- 강남스타일, 네트워크 시대를 말하다 - 이스라엘 히브리대학, <강남스타일>의 성공을 분석한 논문 . 강정수(연세대 콘텐츠미디어학과 교수) - 인터넷과 유트브을 통한 노래의 홍보 가능, 새로운 문화 형성 . 데이비드 최(가수) - 인터넷을 통한 글로벌 댄스 배틀, 수익성 사업으로 확장 . 서울 가산 디지털 단지 . 김병훈(IT업체 대표), 최석호(레저경영연구소 소장) - 그룹 비틀즈가 결성돼 세계적 명소가 된 영국 리버플 . 영국 리버플 41:01- 강남스타일, 우리 사회 변화를 만들다 - 한국의 강남을 찾은 외국인 급증, 문화오락서비스 국제수지 흑자 전환 . 한국의 문화를 체험하는 외국인들 - 보수적 광고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싸이 . 싸이 광고촬영 현장 45:43- 싸이, 전 세계를 웃게 하다 - 세계적 관심과 사랑을 한 몸에 받게 된 싸이 . 2012년 10월 18일, 호주 엑스팩터 프로그램 게스트 출연 - 한류와 K-POP의 수준을 높힌 <강남스타일> . 영국 현대예술협회, 한류문화주간 . 유진룡(가톨릭대학 한류대학원 원장) - 싸이의 <강남스타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승의 견인차 53:52- 에필로그 54:33- 다큐멘터리 <생존> 예고 55:20- 텔롭 55:53- 후CM |
|||
MBC 스페셜 | 20121205 | 5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4- 전CM 02:17- 프롤로그/ 이영애 부부를 만나다 (열악한 교육환경의 절망적인 상황에서 한국식 교육이 일으키고 있는 기적, 그 속에서 자신감과 열정을 찾아가는 아이들과 그들을 이끌고 있는 헌신적인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담아본다) 06:05- 뉴욕 할렘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을 가다 - 뉴욕 할렘, 마약과 범죄의 온상지 - 할렘에 위치한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 -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과 한국어에 익숙한 학생들 - 한국어 수업시간과 시조 수업시간 - 포기와 절망에서 희망을 꿈꾸게 된 학생들 . 2010년 뉴욕의 자율형 공립학교 가운데 최우수 학교로 선정 . 2011년 뉴욕주 고등학교 과목별 합격률 1위 . 세스 앤드류(36세.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 설립자) - 한국식 교욱 방법 도입, 엄격한 규율과 선생님에 대한 존경 . 대학 진학을 장려 -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의 설립자 세스 앤드류 . 10년 전, 한국에서의 원어민 교사를 경험 . 교육을 최고의 가치로 받아들인 한국 사람들의 인식 습득 - 어려운 가정환경이지만 다시 꿈을 꾸게 된 머센디(11학년) . 머센디(11학년(고등학교 3학년) - 한국식 교육(가치와 방법)과 미국식 교육(깨어있는 시민의식)의 융합 - 연방정부로 부터 110억 원에 이르는 지원금 획득 . 찰스 랭글(뉴욕 주 하원의원) 28:04- 할렘 학생들의 한국 방문기 - 2012년 11월 9일, 한국에 도착한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 학생들 . 인천국제공항 - 한국의 전통 문화 체험, 전통 가옥과 풍습 체험 . 국궁 체험과 최첨단 과학기술 체험 - 서울에서 미션을 수행하라, 이순신 장군을 찾아라 . 서울 시청광장 . 한국말 만을 이용해 미션을 수행하라 . 세종대왕의 이름을 알파벳으로 표현하라 - 세스 앤드류가 원어민 교사로 근무했던 중학교 방문 . 천안 동성중학교 - 한국 짝궁과 함께 하는 홈스테이 . 2박 3일 동안 한 가족이 된 김세희(동성중 3학년)과 에슐리, 애니타 . 김치전과 김밥 만들기 - 한국 학생들과의 즐거운 시간과 아쉬운 작별 - 2012년 11월 21일, 한국 방문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학생들 . 인천국제공항 50:53- 다음주 예고 51:31- 텔롭 51:58- 후CM |
|||
MBC 스페셜 | 20121205 | 5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4- 전CM 02:17- 프롤로그/ 이영애 부부를 만나다 (열악한 교육환경의 절망적인 상황에서 한국식 교육이 일으키고 있는 기적, 그 속에서 자신감과 열정을 찾아가는 아이들과 그들을 이끌고 있는 헌신적인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담아본다) 06:05- 뉴욕 할렘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을 가다 - 뉴욕 할렘, 마약과 범죄의 온상지 - 할렘에 위치한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 -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과 한국어에 익숙한 학생들 - 한국어 수업시간과 시조 수업시간 - 포기와 절망에서 희망을 꿈꾸게 된 학생들 . 2010년 뉴욕의 자율형 공립학교 가운데 최우수 학교로 선정 . 2011년 뉴욕주 고등학교 과목별 합격률 1위 . 세스 앤드류(36세.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 설립자) - 한국식 교욱 방법 도입, 엄격한 규율과 선생님에 대한 존경 . 대학 진학을 장려 -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의 설립자 세스 앤드류 . 10년 전, 한국에서의 원어민 교사를 경험 . 교육을 최고의 가치로 받아들인 한국 사람들의 인식 습득 - 어려운 가정환경이지만 다시 꿈을 꾸게 된 머센디(11학년) . 머센디(11학년(고등학교 3학년) - 한국식 교육(가치와 방법)과 미국식 교육(깨어있는 시민의식)의 융합 - 연방정부로 부터 110억 원에 이르는 지원금 획득 . 찰스 랭글(뉴욕 주 하원의원) 28:04- 할렘 학생들의 한국 방문기 - 2012년 11월 9일, 한국에 도착한 데모크라시 프렙 차터 스쿨 학생들 . 인천국제공항 - 한국의 전통 문화 체험, 전통 가옥과 풍습 체험 . 국궁 체험과 최첨단 과학기술 체험 - 서울에서 미션을 수행하라, 이순신 장군을 찾아라 . 서울 시청광장 . 한국말 만을 이용해 미션을 수행하라 . 세종대왕의 이름을 알파벳으로 표현하라 - 세스 앤드류가 원어민 교사로 근무했던 중학교 방문 . 천안 동성중학교 - 한국 짝궁과 함께 하는 홈스테이 . 2박 3일 동안 한 가족이 된 김세희(동성중 3학년)과 에슐리, 애니타 . 김치전과 김밥 만들기 - 한국 학생들과의 즐거운 시간과 아쉬운 작별 - 2012년 11월 21일, 한국 방문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학생들 . 인천국제공항 50:53- 다음주 예고 51:31- 텔롭 51:58- 후CM |
|||
MBC 스페셜 | 20121114 | 6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00- 타이틀
00:00:14- 전CM 00:03:32- 프롤로그 (유로존의 환상에 사로잡혀 복지 포퓰리즘 남발한 그리스의 어제와 오늘을 만나보고 진정한 복지국가의 길을 가기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 00:04:26- 국민소득 3만 달러, 복지천국 그리스에 무슨 일이? - 의료보험 제도가 붕괴된 그리스 의료체계 . 정부의 지원 없는 의료보험은 무용지물 - 복지카드나 의료보험 혜택을 못받는 서민을 위한 무료진료소 . 병원에 갈 수 없는 환자를 위한 무료진료소 - 기본적인 의.식.주를 위협받는 그리스 국민들 . 무료급식소를 찾은 시민들 - 재정 악화를 메꾸기 위한 긴축재정 실시 . 구제금융에 대한 긴축재정 00:24:32- 왜 곳곳에서 돈줄이 마른 걸까? - 경제위기 원인 1: 방만한 복지 운영 . 최종 월급의 95%에 이르는 연금제도 . 유진성(한국경제연구원 경제학 박사) - 경제위기 원인 2: 만연한 부정부패 . 뇌물과 탈세 만연 . 유럽에서 가장 극심했던 공공기관의 부정, 부패 - 경제위기 원인 3: 유로존 시스템의 불균형 . 충분한 분석없는 유로존 가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짐 00:43:51- 그리스, 유로존의 형제로 남을 수 있을까? - 전직 약사였던 77세 드미트리스의 권총 자살 . 절반이 깎인 연금으로 인한 자살 - 현재의 그리스 상황을 등한시 하는 그리스 국민들 - 그리스 위기 타개를 위한 유로존의 노력과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 . 재정 축소기한 연장 . 유로존 시스템의 점검 00:55:48- 에필로그 00:56:56- 창사특집 다큐멘터리 <사랑> 예고 00:57:38- 텔롭 00:58:01- 후CM |
|||
MBC 스페셜 | 20121114 | 6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00- 타이틀
00:00:14- 전CM 00:03:32- 프롤로그 (유로존의 환상에 사로잡혀 복지 포퓰리즘 남발한 그리스의 어제와 오늘을 만나보고 진정한 복지국가의 길을 가기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 00:04:26- 국민소득 3만 달러, 복지천국 그리스에 무슨 일이? - 의료보험 제도가 붕괴된 그리스 의료체계 . 정부의 지원 없는 의료보험은 무용지물 - 복지카드나 의료보험 혜택을 못받는 서민을 위한 무료진료소 . 병원에 갈 수 없는 환자를 위한 무료진료소 - 기본적인 의.식.주를 위협받는 그리스 국민들 . 무료급식소를 찾은 시민들 - 재정 악화를 메꾸기 위한 긴축재정 실시 . 구제금융에 대한 긴축재정 00:24:32- 왜 곳곳에서 돈줄이 마른 걸까? - 경제위기 원인 1: 방만한 복지 운영 . 최종 월급의 95%에 이르는 연금제도 . 유진성(한국경제연구원 경제학 박사) - 경제위기 원인 2: 만연한 부정부패 . 뇌물과 탈세 만연 . 유럽에서 가장 극심했던 공공기관의 부정, 부패 - 경제위기 원인 3: 유로존 시스템의 불균형 . 충분한 분석없는 유로존 가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짐 00:43:51- 그리스, 유로존의 형제로 남을 수 있을까? - 전직 약사였던 77세 드미트리스의 권총 자살 . 절반이 깎인 연금으로 인한 자살 - 현재의 그리스 상황을 등한시 하는 그리스 국민들 - 그리스 위기 타개를 위한 유로존의 노력과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 . 재정 축소기한 연장 . 유로존 시스템의 점검 00:55:48- 에필로그 00:56:56- 창사특집 다큐멘터리 <사랑> 예고 00:57:38- 텔롭 00:58:01- 후CM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