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MBC 스페셜 | 19990521 | 49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실상사의 두 행자> 내용
불가에서 머리카락은 번뇌의 풀, 때문에 스님들은 삭발을 한다. 몇번쯤 하다보면 혼자서 못할것도 없지만 불가에서는 제 머리 깎는 것을 크게 경계한다. 중이 제 머리 못깎는다는 속담이 나온 것도 그 때문이다. 불가 에서 서로의 머리를 깎아준다는 것은 함께 번뇌를 없애고 수행을 돕는다 는 뜻이 담겨 있다. 이제 막 출가해 절집의 온갖 허드렛일을 도맡아 하는 행자, 그 초보스님들의 이야기. 00:00- 타이틀 00:16- 프롤로그 01:35- 전CM 05:08- 발우공양, 마지공양 09:34- 두 행자의 염불, 목탁 연습 13:36- 공부를 하는 학림스님들의 공차기놀이 15:13- 시주함이 털려 뒷수습하는 두 행자 16:39- 행자들의 방 17:47- 실상사 화엄 학림 - 상강례 - 도법스님(실상사 주지) 인터뷰 20:17- 실상사 귀농 전문학교 22:03- 초파일 준비로 정신없는 행자들 - 지심귀명례 24:38- 최행자, 발우공양 배우기 - 지산스님(실상사 원주) 30:49- 절간 음식, 채식 라면 34:00- 최행자의 외출 37:04- 절을 하며 마음을 다스리는 두 행자 38:37- 심부름으로 백장암까지 가는 두 행자 43:51- 행자의 도량석, 아침을 깨우는 두 행자 46:20- 다음회 예고 47:00- 후CM |
|||
MBC 스페셜 | 19990514 | 46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양수리의 봄> 내용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하나가 되는 곳 양수리. 그 곳의 팔당댐은 땅의 모 양뿐만 아니라 자연 생태도 바꾸어 놓았다. 언 강이 풀리는 겨울의 끝자락, 멀리 북녘으로 귀향을 서두르던 겨울새들이 양수리에 잠시 머문다. 양수리는 바로 한반도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간 쉼터인 것이다. 양수리 수초섬을 찾아 계절에 따른 그 곳의 생태를 살펴본다. 01:33- 타이틀 01:56- 프롤로그 03:46- 전CM 06:05- 논병아리의 육아일기 -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 수초섬 . 물닭의 짝짓기, 둥지 만들기 . 논병아리의 짝짓기 . 뿔난병아리의 짝짓기 . 쇠물닭 - 5월 하순, 수초섬의 둥지들 . 논병아리 알 . 물닭의 알 . 쇠물닭 . 물뱀의 공격 . 논병아리 둥지의 온도 - 6월 중순, 수초섬의 새로운 생명 . 물닭의 새끼 부화 . 쇠물닭의 새끼 부화 - 논병아리 부부의 육아 . 폭우에 떠밀려간 논병아리 둥지, 둥지 보수 . 논병아리 새끼 부화, 항상 등에 새끼를 업고 다니는 논병아리 - 수초섬 식구들의 나들이 . 물닭의 먹이사냥 . 뿔논병아리의 먹이사냥 . 논병아리 부부의 새끼 사랑 - 7월 초, 수초섬의 생태계 . 개개비 . 덤불해오라기 - 먹이를 둘러싼 영역 싸움 . 새끼들의 성장 - 수초섬의 가을 . 논병아리 새끼의 홀로서기 - 수초섬의 겨울 42:35- 에필로그 43:51- 후CM |
|||
MBC 스페셜(80일간의 신혼여행), 2부 | 19961013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5:03- 아프리카로 신혼여행을 떠난 이종렬.
- 김정미 부부가 아프리카 북부의 사하라사막을 - 탐험한다. |
|||
MBC 스페셜 | 19961013 | 4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5- 프롤로그 - 제2부 사막에서 살아남는 법 - 김정미(32, 여행전문가), 이종렬(30, 다큐멘터리 작가) 부부 02:17- 전CM 04:20- 1부 줄거리 04:52- 사하라 사막의 사헬사바나 지역 05:31- 펄족 200여명이 모여사는 사라세이니 마을 - 말리공화국, 니제르강 - '보로로족'이라고도 불리는 펄(Pearl)족과의 만남 - 매일 목욕하고 화장을 하는 펄족 - 펄족 남자들은 강건너 작은 섬에서 소를 키움 - 펄족 여자들은 우유를 치즈나 요구르트로 만듬 - 집안일은 온전히 여자들의 몫 . 남자들은 경전 코란을 읽으면서 시간 보냄 15:14- 일레리 마을에서 만난 도곤(Dogon)족 - 도곤족과의 만남 - 남녀 구별이 확실하고 사람을 중시하는 도곤족 . 면화솜으로 실을 짜는건 여자 옷감을 짜는 건 반드시 남자가 함 . 마을 전체구조도 사람 형상을 하고 있음(도곤부락의 배치) . 여자의 집: 월경기간 중 여자는 반드시 이 집에 숨어있어야 함 - 추장에게 차와 사탕을 선물 - 추장의 아들 필립, 마을의 하나뿐인 의사 - 각자의 직업이 부모때부터 세습되어옴 . 가장 존경받는 직업은 대장장이, 농기구와 생활도구를 만들고 불씨를 제공해주기 때문 - 일레리의 5일장, 도곤존이 귀하게 여기는 열매 콜라너트 - 일레리 학교, 아이들 교육에 열심, 프랑스어 사용 - 물이 말라가고 회교도들이 자주 마을을 드나들어 근심 . 집회소 '토구나'에서 마을 어른들이 모임 - 도곤족의 가면 축제(축제와 같은 장례식) . 여자와 아이들은 참석할 수 없음 33:12- 말리공화국 제2의 도시 통북투, 투아레그족 - 한 때 통북투 주인이었던 투아레그족을 찾아볼 수 없음 . 말리 정부측과 투아레그족간의 내분으로 유랑생활을 하게됨 . 96년 3월, 말리.투아레그 간 평화 협정 체결됨 - 통북투 상설시장 - 사막에서 만난 투아레그족을 따라 사막에서의 생활 체험 . 부부를 도와 사막위에 집을 지어주는 투아레그족 . 새로운 오아시스를 찾으러 떠나는 주민 - 떠날 채비를 하는 김정미 부부 46:34- 후CM |
|||
MBC 스페셜(80일간의 신혼여행), 1부 | 19961006 | 3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5:47- 김정미,이종렬 부부의 이색 신혼여행은
-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피그미족을 찾아가면서 - 시작된다.그들의 신혼여행 여정을 동행 - 취재한다. |
|||
MBC 스페셜 | 19961006 | 45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6- 프롤로그 - 제1부 피그미를 찾아서 - 김정미(32), 이종렬(30) 부부의 80일간 이색 신혼여행 동행취재 02:20- 전CM 04:23-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도착 - 수도 방기시, 시내로 들어가기 전 신원조회절차 - 김정미, 이종렬 부부를 반기는 앙쥬 펠릭스 빠따세 대통령 - 방기 시장 풍경, 대부분 외부의 물품들을 들여옴 - 바야족 민속촌 09:14- 피그미족을 찾아가는 본격적인 여정 시작 - 피그미족이 사는 열대우림으로 출발 - 숲속 들어가기 전 마지막 문명마을인 바간두에서 하룻밤 . 난생 처음 전깃불을 본 바간두 아이들 - 다음날 아침, 피그미족의 거주지 찾기 . 차에 싣고 온 짐들을 운반하기 위해 바간도 주민들 도움 받음 . 피그미가 살았던 집터 - 바간도 출발 14시간만에 피그미족의 거주지 찾음 15:54- 마카세(피그미들의 집단 거주지) 도착 - 환영인사도 거부도 하지 않는 피그미족 - 수고비를 10배나 올려달라는 바간두 짐꾼들 - 다음날 아침, 비어있는 토담집에 신혼집 차리는 김정미씨 부부 - 피그미족의 생활 소개 . 피그미들은 열대우림을 옮겨다니며 채집생활, 집형태는 움집 . 외부인인 소금 장수 '누루', 아카피그미와 외부세계 이어줌 . 피그미는 키가 작은 사람을 지칭하는 말, 이들 피그미의 부족 이름이 아카족 . 소포 프랑소와, 남편 시몬 프랑소와(힘이 센 사람은 부인을 여럿 얻을 수 있음) 21:54- 피그미인들의 생활 - 피그미 여인들의 채집활동, 마니옥(고구마와 비슷) 캐는 소포 - 마니옥이 주된 먹거리, 불을 붙일 때 나무 진액을 사용 - 숫자 개념이 없어서 나이를 알 수 없음 - 자신을 가꾸는 일이 중요한 일과 중 하나, 뾰족하게 이빨 갈기 - 소퍼에게 소금을 선물, 매우 좋아함 . 소금장수가 전해주는 서구의 이름 중 골라 자신의 이름 지음 - 오랜만에 내리는 비, 비를 축복이라 여김 . 춤과 노래를 즐김, 통나무로 만든 북이 유일한 악기 31:48- 피그미 남자들의 주된생활은 사냥 - 시몬이 직접 만든 칼과 사냥통으로 사냥 나감 - 원숭이를 잡으러온 외부 사냥꾼들이 많아짐 . 한번에 너무 많은 원숭이를 잡아가 원숭이가 사라질까 걱정 . 또한 외부인들이 자주 찾아오면서 피그미족의 질병이 늘어남 - 사냥을 떠나 3일만에 돌아온 시몬, 잡아온건 거북이 한마리뿐 - 선진국들의 산림벌채로 숲의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음 37:01- 피그미 사람들과의 이별 - 약초와 바나나를 넣어 끓인 저녁식사 - 어느덧 20일이 지나고 피그미 사람들과 작별인사 . 서운한 듯 눈물흘리는 소포/헤어짐을 위한 축제 42:17- 2부 예고 43:20- 후CM |
|||
MBC 스페셜(집중분석 전생신드롬) | 19960922 | 4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5:24- 최근 급속히 번지는 전생에 관한 여러가지
- 주장과 전생을 연구하는 이들,전생을 소재로 - 한 책자등을 통하여 전생신드롬의 실체를 취재. |
|||
MBC 스페셜 | 19960922 | 47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6- 전현수 신경정신과의원 최면실 - 박기량(성우), 1996년 9월 16일 01:10- 길거리 인터뷰 02:36- 전CM 04:38- 대전시 동구 원동, 한 사진관 - 전생을 아는 사진가 송수민 06:42- 가락치과의원 - 전생을 알고 있는 의사 박규진 - 도화제 선학 수련원, 함께 도를 닦는 부부 09:22- 전생을 볼 수 있는 사람, 한당 - 삼태극 - 취재팀의 전생을 봐주는 한당 11:0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 - 다섯 살때 일본어로 자신의 전생을 말했다는 정연득 - 1990년 방송자료 - 박문현(동의대 철학과 교수) 인터뷰 - 어머니 인터뷰 - 동래 정씨 선산 제실 - 정일모(상근 이사) 인터뷰 16:45- 전생을 소재로 한 매체물 - 귀천도애(歸天道哀) 뮤직비디오 중에서 - 화장품 CM 중에서 - 교보문고 - 김영우(<전생여행> 저자) 인터뷰 - 김주연(컴퓨터 통신 정신과학동호회 회원) 인터뷰 21:06- 전현수 신경정신과 의원 - 최면 모습 - 최면 받은 사람 인터뷰 - 이영진(동국대 인도철학과 3년) 인터뷰 25:07- 26:33- 전생으로 한때 신동으로 불리웠던 정연득의 지금 - 한원희(정연득군 담임선생님) 인터뷰 - 박문현(동의대 철학과 교수) 인터뷰 - 전현수(신경정신과 전문의) 인터뷰 - 도화제 선학 수련원 32:34- 전문가들의 말 - 변영돈(대한최면치료학회장), 김영우(신경정신과 전문의), 전현수(신경정신과 전문의), 33:43- 대한 최면 치료학회 공문 35:34- <불가사의의 세계>: 미국 어소시에이트 TV프로덕션 제작 - 아드리안 핀클스타인(정신과 전문의) 인터뷰 - 변영돈(대한최면치료학회장), 김영우(신경정신과 전문의) 37:46- 최면 받는 제작진 - 박기량(성우) 인터뷰 42:33- 컴퓨터 통신 <정신 과학회> 모임 - 임성빈(명지대 공대학장, 정신과학회 부회장) 인터뷰 43:16- 전생을 찾는 이유 -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정체성(자아)의 상실, 현실에 대한 불안감 - 김일균(사회심리학자) 인터뷰 45:03- 후CM |
|||
MBC 스페셜(도박사의 고백) | 19960915 | 39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6:16- 사기도박의 대부로 칭해지던 강호신씨의
- 힘겨운 삶의 이야기. |
|||
MBC 스페셜 | 19960915 | 47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6- 프롤로그 02:44- 전CM 04:46- 주변사람들이 말하는 강호신 06:07- 시골마을에서 은거하는 강호신 - 매일 예불을 올리는 강호신씨 09:00- 도박하던 10대, 20대 이야기 - 70년대 초 하루에 7, 8만원은 썼다는 강호신씨 - 도박 시작한 계기 - 아들과 함께 지내는 강호신씨 . 강재구(아들) . 아버지 커피 타주는 아들 18:56- 30년이나 지났지만 강호신을 기억하는 고향주민들 20:07- 사기도박이 이루어지는 과정 - 그 당시 가장 많이 딴 돈, 700만원 27:16- 도박을 그만두게 된 계기와 그 후의 생활 - 가족에게 버림받은 강호신씨 - 자살하기 전 천지사라는 절을 찾아간 강호신씨 35:44- 아들과 함께 행복하게 살고있는 강호신 - 아들 준비물 사러 같이 외출 - 같이 저녁먹는 모습 44:48- 후CM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