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PD수첩, 263회 | 19970204 | 4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3- 하이라이트 00:57- 전CM 04:30- 조선족 사기피해 그 후, 두 어린이의 한국행 - 연길시에 살고 있는 송호 - 96.11.12 송호 방송 자료 - 송호의 사정이 알려지자 계속되는 도움의 손길 - 송호의 한국행을 기뻐하는 친척들 - 송호,방영걸 환송회 - 36.11.12 방영걸 방송자료 - 한국으로 향하는 송호와 방영걸 가족 - 병원에서 안과검사를 받는 송호와 방영걸 - 송호의 후원자 - 방영걸의 후원자 - 병원에서 천진난만하게 놀고 있는 아이들 - 병원을 찾아온 송호의 후원자 - 방영걸군 돕기 성금 모금을 하는 충청은행 - 송호와 방영걸의 검사 결과 23:28- 탈북자 김용화씨의 머나먼 한국행 46:00- 클로징(정길화,노혁진) 46:28- 후CM |
|||
PD수첩, 262회 | 19970128 | 46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3- 프롤로그 04:34- 노동법 기습통과, 갈등과 대립 05:28- 오프닝(안택호, 박정근, 송일준) 07:11- 개정 노동법 무엇이 문제인가? - 정리해고제의 내용과 문제점 . 전 한국 전기 공업 협동조합 직원 성영모씨 사례 . 영원무역 성남공장 사례 . 쌍용 종합 금융의 사례 - 변형 근로 시간제의 문제점 . 기아자동차 생산라인 근무 장도영씨 사례 . 서울 지하철 공사 사례 -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대체근로 허용 문제 . 한국 후꼬꾸 노동조합의 사례 - 노동법 개정 문제의 타결책 44:34- 클로징(안택호, 박정근, 송일준) |
|||
PD수첩, 261회 | 19970107 | 44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2- 프롤로그 04:43- 떠도는 탈북자들 두만강 접경지대를 가다 - '남평'에서의 식량 수탈 - 접경지대의 큰 도시 '도문' - '개산둔'의 탈북자 위한 식량창고 - 북한의 식량 부족 문제 - 탈북자를 돕는 두만강변의 조선족 마을 - 탈출 거점인 '삼합' - 탈출 후 숨어지내는 탈북자 - 중국 공민으로 정착한 탈북자 - 탈북자 인터뷰 |
|||
PD수첩, 260회 | 19961217 | 56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6- 하이라이트 00:54- 전CM 04:44- 올해의 화제작 모음 07:12- 오프닝(윤길룡, 이모현) 08:37- '96 PD수첩 5대 특종 - 대순진리회를 아십니까 - 치과의사 살인사건, 진범은 누구인가 - 센카쿠인가 디아오유타인가, 동중국해에 이는 격랑 - 미성년 성학대 . 벨기에에서 한국에까지 이르기까지 미성년자 성폭행 - 사기꾼에 흔들리는 조선족 사회 . 조선족 동포들의 한국인들에 의한 사기 피해 현장 26:01- '96 PD수첩 수상작 - 점술가가 판친다 . 김일성 주석 사망과 관련해 점술의 실상 - 통일언론상 수상작: 머나먼 귀향 . 일제시대 강제로 끌려간 사람들의 타향땅에서 겪는 고충 - YWCA 좋은 프로그램상 환경부문: 전쟁보다 더한 재앙, 고성산불 현장을 가다 - YWCA 좋은 프로그램상 평화부문: 고엽제 . 월남전에 참여했던 고엽제 피해자 40:15- '96 PD수첩 방송 그후 - 공개수배, 붕어빵 부부 실종사건 - 잊혀진 올림픽, 파랄림픽 . 장애인 올림픽의 지원제도 문제 - 나사로의 집에서 만난 아이들 51:50- 클로징(윤길룡, 이모현) 52:27- 1997, PD수첩에 바란다 54:07- 후CM |
|||
PD수첩, 259회 | 19961210 | 5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조선족 사기 피해> 내용
지난달 조선족 사기 피해 방송 후 동포들의 생활상을 살펴보고, 여전히 사기 피해로 쓰러지는 조선족 사회의 현장을 찾아가보았다. 사기피해로 병조차 치료받지 못하는 조선족들, 한국 피해자 협회에서 만난 조선족들 을 대면해 실상을 파헤쳤다. 한국에 돌아온 교포들 또한 불법체류자라는 약점을 이용한 악덕 고용주들에게 피해를 입고 있으며, 산업연수생을 중 기협이 주관하고 있어 이에 따른 사기 발생 사례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조선족 사기 피해의 근원과 해결방안에 대해 점검해보도록 한다. 00:00- 타이틀 01:00- 전CM 05:02- 오프닝(송일준) - 출연: 안택호, 노혁진 06:58- 조선족 사기 피해 방송 후 달라진 점 08:39- 사기 피해로 쓰러지는 조선족 사회 - 중국 도성의 최향란씨 집 . 어릴때 시 신경 발육 못해 약시가 된 최향란씨의 아들 영걸군 - 사기 피해로 돈이 없어 치료조차 받기 어려운 송호군 - 한국 피해자 협회에서 만난 조선족들 - 서울 출입국 관리사무소를 찾은 윤종근씨 . 조선족 피해자들에게 성금을 보내는 윤씨 -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외국인 노동자 피난처 . 한국인에 의한 중국 동포 사기피해 실태 조사 . 조명숙 간사(외국인 노동자 피난처) - 10만명이 넘는 중국 교포 사기 피해자 - 길림성 돈화시, 한국인에게 피해를 입은 조용한씨 부부의 집 . 사기꾼들에게 집까지 잃고 빚쟁이들에게 시달려 살고 있음 . 강냉이죽이 유일한 양식 - 한국에 초청해준다는 말에 빚을 내 서류를 만든 김용섭씨 - 미국가는 비자를 받아준다는 말에 돈을 내고 사기를 당한 박경호씨 - 아들과 함께 사기 행각을 벌인 김정수씨 인터뷰 - 흑룡강성 하얼빈에서의 조선족 사기 피해자들 - 사기피해 사연을 보도한 현지 신문 36:42- 한국에서 겪는 고통 - 불법체류자라는 약점을 이용한 사기행각의 예 . 오천근 소장(중국노동자센터) 인터뷰 . 사기피해의 내용: 제3자에게 위탁해 돈을 받아냄, 한국에 초청 해주는 명목으로 돈 받아냄 - 중국동포들이 일하고 임금을 받지 못하는 원인 . 정위영 부장(보미건설) 인터뷰 - 중국교포 산업재해 피해자 전원창씨 42:02- 산업연수생을 둘러싼 의혹 - 서경석 부위원장(재중국동포문제 시민대책위원회) 인터뷰 - 외국 인력 도입 정책 변천 -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주장 - 중기협이 주관하는 문제로 수많은 사기 발생 사례 증가 - 중국 연길시 한국피해자협회 . 사기 충격으로 죽음을 택한 16명의 중국동포의 위패 55:47- 클로징(송일준) 56:25- 후CM |
|||
PD수첩, 258회 | 19961126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5:38- 1.미성년 성학대: 벨기에에서 한국까지
|
|||
PD수첩, 257회 | 19961119 | 4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5:47- 1.긴급진단,팔려가는 환자들
- 교통사고 환자들을 유치해 주고 - 돈을 받는 소규모 무허가병원 취재 - 2.훈장공화국,무엇이 문제인가 - 남발하는 훈장의 실태와 훈장수여의 - 문제점 지적 |
|||
PD수첩, 256회 | 19961112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6:17- 1.사기피해로 무너지는 조선족사회
- 취업을 미끼로 조선족들을 사기치는 - 한국인 사기꾼들의 사기행각 취재 |
|||
PD수첩, 255회 | 19961105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5:45- 1.쟈스민 살레히 주매화씨의 그린카드
- 결혼 11개월만에 남편을 사별한 - 주씨의 미국 영주권 획득 취재 - 2.열여섯살 분홍치마저고리 - 일제시대 종군위안부로 생활한 - 문옥주 할머니의 임종을 통해 본 - 정신대 문제 조명 |
|||
PD수첩, 255회 | 19961105 | 4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2- 하이라이트 01:18- 전CM 04:36- 오프닝(윤길룡, 이모현) 04:44- 쟈스민 살레히 주매화씨의 그린카드(윤길룡) - 미국현지 언론의 보도자료 - 미국에서 이란계 남편을 만나 결혼한 주매화씨 . LA근교 반나이스 - 결혼 11개월만에 강도를 당해 숨진 남편 - 결혼2년이 안되어 남편이 사망해 영주권을 줄 수 없다는 미국 - 주매화씨에 대한 주변의 냉담한 반응 - 주매화씨를 돕겠다고 나선 남편의 양아버지 - 방문비자를 소지한 불안한 신분의 주매화씨 25:41- 열여섯살 분홍치마저고리(이모현) - 종군위안부 문옥주 할머니 영결식(1996.10.28 ) - 일본국민기금을 받지 않겠다는 문옥주 할머니의 유언 - 결혼을 하지 못하고 아들을 입양해 키운 문옥주 할머니 - 1992년 정신대 만행 규탄 시위 - 문옥주 할머니 육성 진술(1996.5.일본) 만주사변 발발 - 당시 문옥주 할머니가 저금한 돈을 돌려줄 수 없다는 일본 . 군사우편 예금증서 - 공식사과는 뒷전이고, 정신대 할머니들을 회유하려는 일본 . 1996년 일본 대사관앞 민간기금 반대 시위 - 항상 분홍치마를 입고 시위에 참가한 문옥주 할머니 45:58- 클로징(윤길룡, 이모현) 46:29- 후CM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