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프로그램 제작 포트폴리오

참신한 기획력과 창의력으로 MBC C&I의 미래를 이끕니다.

선덕여왕 2권

<책 소개>

MBC 특별기획 드라마 <선덕여왕> 원작 소설!!!
“사람을 얻는 자, 천하를 얻고 시대의 주인이 된다”

미실을 대적할 자! 북두의 일곱별이 여덟이 되는 날에 오리라!

요부 미실과의 끈질긴 암투 속에서, 엇갈린 운명 속에서
끝내 삼한일통의 큰 그림을 그린 최초의 여왕 선덕이야기!

신라인들에게는 원대한 꿈이 있었다. 삼한일통. 이 엄청난 국가 프로젝트에서 선덕여왕은 최종적으로 이 일을 담당할 신흥세력인 김유신과 김춘추를 발굴하고 키워냈을 뿐만 아니라, 미실의 야욕을 뿌리치고 자신의 사후 후계자 구도를 바로 세우면서 마침내 그 후임자들에게 삼국통일을 완성하도록 했다.

소설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이었다는 점 외에는 그다지 알려진 바 없는 선덕여왕을 쌍둥이로 설정을 하면서 시작된다. 쌍음雙陰은 불길한 징조라는 신화적 예언에 의해 왕으로부터 버림 받지만 하늘의 계시를 잊지 않고, 끝내 현명하고 자애로운 여황으로 우뚝 서는 덕만(선덕여왕)의 파란만장한 인생여정이 담겨있다.

소설 《선덕여왕》에서는 우리 역사상 최초로 대권에 도전했던 선덕여왕의 이야기를 권력투쟁의 승리과정으로 그리기보다는 사람과 인재를 얻어가는 과정으로 그려낸다. 김유신과 김춘추, 국선 문노와 화랑도 등. 최대의 정적 미실과의 갈등도 빼놓을 수 없는 재미이다. 그러면서 신라의 당시 시대정신에 합당한 아젠다는 무엇인가? 선덕여왕은 과연 그 시대정신을 구현해 낸 지도자였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신의 성취를 위해 사랑을 포기하는 덕만과 사랑을 위해 왕위를 포기하는 천명. 두 공주의 갈등과 연대를 통해 그들의 고통, 그들의 꿈, 그들이 이룬 사랑과 포기한 사랑, 이루어 낸 꿈과 버려야 했던 꿈을 엿보는 것 또한 소설에서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저자 소개>

극본 : 김영현
1966년 충주 출생. 연세대 경제학과 졸업했다. 1998년 MBC 드라마 <애드버킷>, 2001년 SBS 드라마 <신화>, 2003년 MBC 드라마 <대장금>, 2005년 MBC 드라마 <봄날의 미소>, 2005년 SBS 드라마 <서동요>, 2007년 MBC 드라마 <히트>, 2009년 MBC 드라마 <선덕여왕> 등의 대본을 집필했다.

극본 : 박상연
1972년 서울 출생, 중앙대학교 영어학과 졸업했다. 1996년 세계문학 장편소설 등단, 1997년 장편소설《DMZ》(민음사 刊), 2000년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2007년 MBC 드라마 <히트>, 2007년 영화 <화려한 휴가>, 2009년 MBC 드라마 <선덕여왕> 등을 집필했다.

소설 : 류은경
1971년 충남 출생,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졸업했다. 1998년 작가세계 신인소설상 데뷔, 2002년 국민카드 사이버문학상 수상, 200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등단, 2006년‘2006 젊은 소설’선정, 2007년 장편소설 《이산 정조대왕》, 2009년 장편소설 《선덕여왕》(MBC프로덕션 刊) 등을 집필했다.

<차례>

운명의 조우 / 적과의 거래 / 용화향도 / 진성비재 / 음모 / 전장에 핀 꽃 / 뒤엉킨 인연 / 두 개의 곡옥

<책 속으로>

눈을 뜰 수 없을 정도로 광채를 품어대는 유신의 모습을 경탄을 금치 못하며 지켜보는 내내 서리는 그의 눈빛이 향한 곳에 서 있을 그 누군가가 누구인지 알고 싶어 몸이 다 근질거렸다. 하지만 서리가 볼 수 있는 시야는 딱 거기까지였다. 마치 화폭에 담긴 그림을 보는 것만 같았다. 그러나 한 장의 그림은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는 법이지 않던가. 서리는 머릿속에서 없어지지 않고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또렷해지는 그 장면을 통해 예언이 말하고자 하는 다른 조각을 찾아낸 느낌이었다.
쌍음 중 하나는 이십 년 넘게 소식이 없었다. 개양좌와 갈라져 팔성을 이루었던 개양증1좌도 더는 빛을 발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사라진 쌍음이 살아있는 듯한 느낌이 지워지질 않았다.
필시 살아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신의 시선은 그녀를 향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사라졌으나 생존해 있는 둘째 공주는 누구란 말인가. 불행히도 서리의 생각은 거기에서 멈칫대었다. 그럼에도 확실히 느껴지는 것이 있었다. 양양兩陽이란 두 명의 남자를 의미했다. 유신에게서 쏟아지는 저 빛은 그가 양양 중 하나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었다. 미실궁주가 저토록 탐욕스럽게 유신을 갈망하는 이유도 그 때문일 것이다. 놀랍게도 미실궁주는 제 권좌를 지켜줄 영웅을 본능적으로 알아본 셈이었다. <2권 289~290P>

“백성이 원하는 전쟁이란 없기에 백성이 원하는 삼국일통도 없습니다. 그런데도 조정의 높으신 분들은 전쟁을 일으키고, 모든 신라인의 영웅이라는 당신은 삼국일통을 들먹이며 민의니 천의를 논하고 있었습니다. 백성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국선이나, 제 잇속을 위해 전쟁을 유발하는 관료들 모두가 이 나라 신라에는 필요 없는 존재들입니다. 국선께서 제 출생의 비밀과 아비를 알고 싶으면 계림을 돌아보라 하셔서 이러한 진리를 알게 되었으니 고맙다고 해야 하는지도 모르겠군요. 허나 더는 당신의 얼굴을 보고 싶지 않습니다. 제 할말은 끝났으니 이만 석굴로 돌아가겠습니다.”
“허면 자네 아버님을 만나 뵙지 않겠다는 것인가?”
“그 사람의 거처를 알려고 누군가에게 기대는 일 따위는 없을 겁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절대로 아버지를 찾아다니는 일도 없을 거구요.”
“무슨 뜻인가?”
“내가 그를 찾는 것이 아니라 그가 나를 찾게 만들겠다는 뜻입니다. 내가 아버지에게 필요한 존재라면, 그 사람이 제 발로 만나러 올 겁니다. 그렇게 되도록 지금보다 더 강해지고 단단해질 겁니다.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고 나만의 힘으로요.” <2권 307~308P>

<줄거리>

천명은 김유신의 가야파를 자신의 정치세력으로 삼기로 하고, 덕만에게도 화랑도에 들어갈 것을 권유한다. 화랑도에 들어가 김유신의 낭도가 된 덕만은 사사건건 유신과 부딪치나 백제와의 전쟁을 겪으면서 서로 야릇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호사다마라고 천명이 유신에게 향하는 감정을 눈치 채고 당황하는 덕만. 그런 감정도 정리할 겸 유신과 단둘이 청유를 떠난 덕만은 미실의 정부인 설원이 보낸 자객의 공격을 받게 된다. 그때 그동안 덕만을 찾아 사막으로 떠났던 문노가 나타나 둘을 위기에서 구해 준다. 문노는 덕만이 공주라는 사실은 함구한 채 자신의 정체를 밝히고는 덕만에게 왕의 자질이 있는지 시험하게 된다.
하지만 문노는 그 와중에서 친자식처럼 키웠던 비담(미실이 버린 자식)에게 목숨을 잃게 되며, 덕만은 자신이 할 일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깨닫게 된다. 한편 미실은 가야파인 김유신 부자를 견제하기 위해 가야 유민들이 난을 일으킨 지역에 그들 부자를 보내게 되는데, 덕만의 기지로 지혜롭게 난을 수습하고 돌아온다.
그런데 사막에서 죽을 줄로만 알았던 칠숙과 소화가 서라벌에 나타나면서 상황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기 시작한다.

<출판사 리뷰>

하늘이 택한 여왕
여왕이 택한 두 남자
그들이 쓰는 삼한일통의 장엄한 서사시!

역사 속의 선덕여왕이 다시 신화가 되었다. 오천 년 우리 역사 최초의 여왕이며, 삼한일통의 초석을 다진 것으로만 알려진 선덕여왕.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화랑세기》의 사료를 재구성하고,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되어 오늘날의 시대정신에 합당한 아젠다를 제시하는 올곧은 여성지도자 상으로 재탄생 하게 된 것.

소설은 선덕여왕을 쌍둥이로 설정을 하면서 시작된다. 쌍음雙陰은 불길한 징조라는 예언에 의해 친부인 왕으로부터 버림 받지만 이 또한 하늘의 계시였던 것. 최대의 정적 미실한테 쫓겨 대륙의 사막까지 쫓겨났다 모진 시련을 감내하며 끝내 서라벌로 돌아온 덕만(선덕여왕)은 하늘의 뜻에 따라, 김유신과 김춘추를 얻고 삼한일통의 밑거름을 만들게 된다.

소설 속 선덕여왕은 단지 왕위를 이을 남자가 없어서 여왕이 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운명을 개척해 대권을 차지하게 된다. 자신의 뿌리를 찾기 위해 화랑도에 들어가 김유신의 낭도가 됐고, 그 안에서 참혹한 전쟁과 민초들의 피폐한 삶을 목격하게 되면서 점차 하늘의 계시를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면서 작가는 신라의 당시 시대정신에 합당한 아젠다는 무엇인가? 선덕여왕은 과연 그 시대정신을 구현해 낸 지도자였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3대의 왕에게 색공色供을 하며 왕후 자리를 노리던 미실과의 갈등도 빼놓을 수 없는 재미이지만, 자신의 성취를 위해 사랑을 포기하는 덕만과 사랑을 위해 왕위를 포기하는 천명. 두 공주의 갈등과 연대를 통해 그들의 고통, 그들의 꿈, 그들이 이룬 사랑과 포기한 사랑, 이루어 낸 꿈과 버려야 했던 꿈을 엿보는 것 또한 소설에서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우편번호 검색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