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제작 포트폴리오
참신한 기획력과 창의력으로 MBC C&I의 미래를 이끕니다.
조선과학수사대 별순검
‘한국의 CSI’ 라는 호평을 받으며 케이블 TV 사상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 원작 소설 『조선과학 수사대 별순검』. 갑오개혁이 단행되고 일제의 강요에 의해 을사늑약이 체결되는 조 선 말기 격동의 세월을 배경으로 조선 말기의 살인사건을 둘러싼 별순검의 활약상을 다루고 있다.
『조선과학수사대 별순검』이 단순히 살인사건이 해결되는 과정, 즉 별순검과 범인의 두뇌 게임에만 포커스를 맞춘 미스터리 소설은 아니다. 이 책에는 격동기의 거센 파고를 꿋꿋이 헤쳐 나가는 민중들의 삶과 애환이 오롯이 담겨 있다. 저자는 사회의 최하층으로 천대받은 백정, 일본의 경제 침탈에 맞서는 조선 상단, 몰락한 양반, 신흥 직업이자 뭇 여성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던 소설책을 읽어주는 남자 등 조선 말기의 다양한 인간군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 : 이수광
1954년 제천에서 태어났다. 1983년 <중앙일보>에 《바람이여 넋이여》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제14회 삼성문학상 소설 부문, 제2회 미스터리클럽 독자상, 제10회 한국추리문학 대상을 수상했다. 이수광은 오랫동안 조선시대 살인사건 기록에 남다른 관심을 기울여왔다. 지금까지 지은 책으로는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살인사건》,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연애사건》, 《조선을 뒤흔든 21가지 비극 애사》, 《잡인열전》, 《나는 조선의 국모다》, 《세상을 뒤바꾼 책사들의 이야기》, 《대왕 세종》, 《책사 한명회》, 《조선의 방외지사》 외 다수의 작품이 있다.
[차례]
• 목차보기
백정살인사건
- 짐승보다 못한 사람의 딸
객주 비녀 살인사건
- 조선 상인의 애국운동
과부 연쇄 겁탈사건
- 개화기의 꽃 도둑
조선염직소 살인사건
- 색에 미친 남자, 색에 미친 여자
육혈포 살인사건
- 조선을 약탈하는 일본인
자귀나무 살인사건
- 죽도록 사랑한 부부
돌아온 옥이 살인사건
- 여학당 기숙사의 비명 소리
연못 살인사건
- 한 남자와 세 명의 부인
백여령 살인사건
- 한성 제일 미녀의 남자들
전기수 살인사건
- 책 읽어주는 남자와 조선의 여인들
불 탄 시체 살인사건
- 여형사와 오빠
[출판사 리뷰]
개화와 충돌의 시대, 역사는 산 자의 것만은 아니었다!
무고(無辜)의 난무, 무고(誣告)의 횡일
“이 노~옴! 네가 네 죄를 알렷다! 어서 이실직고하지 못할까!”
사또 나으리의 서슬 퍼런 불호령이 떨어진다.
가뜩이나 주눅 들어 있는 피의자가 혐의 사실을 부인이라도 할라치면 다짜고짜 고신(拷訊 : 고문) 으로 이어진다. 죄질에 따라 곤장 몇 대부터 시작하여, 피와 살이 튀고 뼈가 으스러지는 주리 틀 기, 불에 달군 쇳덩어리로 몸을 지지는 단근질….
사극 드라마 같은 데서 흔히 볼 수 있는, 범죄 용의자를 데려다 문초(問招)하는 장면이다. 이것은 또한 우리의 머릿속에 각인된 조선 시대 이미지의 한 단면이기도 하다.
합리적 추론이나 과학적 조사와는 일찌감치 담을 쌓은 행태가 아닐 수 없다. 여기에는 별다른 수 사 기법이 필요치 않다. 용의자를 일거에 위압할 만한 근엄한 목청과 몇 가지 고문기구, 그리고 이를 다룰 건장한 포졸 서넛만 있으면 족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종 판결은 사법 권력을 틀어쥔 자의 육감이나 직관, 호오(好惡),… 그리고 뒷전에서 오고가는 뇌물 액수에 좌우되기 일쑤였다.
조선 시대 때 나름대로 치밀한 수사과정이 있었다는 기록이 전해지기도 한다. 하지만 그건 어디 까지나 끗발 좋은 사대부 집안을 대상으로 한 수사에서만 그러했다. 무지렁이 민초들에게 계급과 신분에 따른 차별은 수사 과정에서도 고스란히 적용되었을 것이다. 하긴… 그렇게 하는 것이 현 존 질서를 유지ㆍ온존하면서 효율적인 계급 지배를 공고히 하는 징치(懲治)의 수단으로 작용하지 않았겠는가!
그 과정에 얼마나 모함과 무고(誣告)가 횡일하였을 것이며, 그럼으로써 무고(無辜)한 사연, 억울한 죽음은 또 얼마나 부지기수였을까!
“흩어진 파편이 모였으니 진실을 말해주겠지!”
《조선과학수사대 별순검》은 갑오개혁이 단행되고 일제의 강요에 의해 을사늑약이 체결되는 조 선 말기 격동의 세월을 배경으로 한다.
1894년 포도청이 폐지되고 일본의 경찰 제도를 본뜬 경무청이 신설되면서, 전근대적인 수사 방식 은 어느 정도 근대성을 확보해 간다. 특히 별순검이 펼치는 활약상은 전근대와 근대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양자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하는 셈이다.
특별수사팀은 증거를 확보하고 수사를 맡아 진행하는 별순검, 이들을 지휘ㆍ감독하는 오늘날의 수사반장 격인 경무관, 사건 현장에서 채집된 유류품들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증거화하는 조사 및 분석담당자, 검시관이자 법의학자라고 할 검률로 구성된다. 이들은 족적(足跡) 채취와 행적(알 리바이) 수사는 기본이고, ‘증수무원록(增修無?錄)’이라는 당대의 법의학서를 바탕으로 실증 적 귀납추리를 전개해 나간다. 심증이나 육감, 또는 일방적인 자백의 강요가 아닌 증거 제 일주의 원칙이 뿌리내리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조선과학수사대 별순검》이 단순히 살인사건이 해결되는 과정, 즉 별순검과 범인의 두뇌 게임에만 포커스를 맞춘 미스터리 소설은 아니다. 이 책에는 격동기의 거센 파고를 꿋꿋이 헤쳐 나가는 민중들의 삶과 애환이 오롯이 담겨 있다.
『백정 살인사건』에는 갑오개혁 이후 신분제가 철폐되었음에도 여전히 사회의 최하층으로 천대받 는 백정들의 설움과 정한(情恨)이 서려 있다. 『객주 비녀 살인사건』은 조선 말기, 일본의 경제적 침탈에 맞서려는 조선 상단의 눈물겨운 노력을, 『육혈포 살인사건』은 신식 문물이 물밀듯 쏟아 져 들어오는 가운데 6연발 권총에 의한 피살 사건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국제 사기사건을, 『조선 염직소 살인사건』은 이제는 몰락하여 살아남기 위해 염색 공장이라도 운영해야 하는 양반의 비 애를 펼쳐내 보인다. 『연못 살인사건』에서는 근대적 재판이 처음 도입될 당시의 진풍경이 그려 진다. 또 페미니즘 운동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축첩반대 상소운동’, 첩이 될 수밖에 없었던 여인들 의 구구절절한 사연을, 『백여령 살인사건』은 한성 제일의 미인이 의문의 죽음을 당한 것을 배경 으로 해서 당시에도 관보 위조를 통한 매관매직, 이른바 성상납 등 고위층의 성 스캔들이 횡행했 음을 보여준다. 『전기수 살인사건』에는 신흥 직업이자 뭇 여성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던 소설책을 읽어주는 남자, 세책가(貰冊家 : 책을 빌려주는 곳)의 풍경, 글로써 사람들의 마음을 휘어잡고자 하는 소설가의 욕망 등이 담겨 있다.
시대의 불안과 광기가 투영된 살인사건
살인사건은 우연히 일어나지 않는다. 우발적으로 저질러지는 살인사건의 이면에는 사회에 대한 불만과 욕망,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광포한 충동이 계기가 된다. 그래서 살인사건을 들여 다보는 것은 시대의 불안과 광기를 읽는 작업이다.
이 책은 갑오개혁 이후부터 조선 말기까지 조선 사람들의 생활사와 그들의 내면세계를 비춰줄 것 이고 방황하는 조선인의 영혼을 대면하게 해줄 것이다.